국가부채, 이렇게 커도 괜찮을까?
메인 이미지
© 연합뉴스

국가부채, 이렇게 커도 괜찮을까?

지난 2분기 우리나라의 국가채무와 가계채무가 사상 최초로 3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직전 분기보다 44 늘어나며 11분기 만에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는데요. 최근 경기 침체로 세수가 줄며 나랏빚이 늘고,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하며 가계 부채가 급증한 탓입니다. 2분기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1,145 9천억 원으로 분기보다 30 4천억 늘어났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51% 살짝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세계적으로 봤을 그렇게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앞으로 꾸준히 증가해 2029년에는 60% 육박할 있다는 전망도 나오죠. 오늘 <경제 한입>에선 우리나라의 나랏빚 현황과 국가부채의 영향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나라 나랏빚 어떤 수준이야?

💰 나랏빚, 국가채무야 국가부채야?: 나랏빚을 이야기할 항상 헷갈리는 것이 국가채무와 국가부채입니다. 단어가 비슷해 혼용되는 경우도 많은데요. 국가채무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확정적으로 갚아야 돈을 가리킵니다. 국가부채는 국가채무에 더해, 앞으로 갚아야 것으로 추정되는 돈까지 합한 것이죠. 공무원연금이나 군인연금처럼 국가가 언젠가 지급해야 의무가 생기는 돈까지 모두 함께 계산한 것이 국가부채입니다. 국가부채가 국가채무보다 포괄적인 개념인 셈입니다.

🔎 D1부터 D3까지, 나랏빚에도 종류가 있다

정부는 나랏빚과 관련해 3가지의 부채 통계를 내놓습니다. 이 3가지는 채무자를 기준으로 분류하는데요. 이와 별개로 연금 비확정부채까지 포함한 재무제표상 부채도 발표하죠. 앞서 살펴본 국가채무는 D1, 국가부채는 D4 해당합니다.

  • D1(국가채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채무
  • D2(일반정부 부채): D1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를 더한
  • D3(공공부문 부채): D2 비금융공기업 부채를 더한
  • 재무제표상 부채(국가부채): 각종 국가채무에 공적연금 충당부채까지 더한

이중 국제적인 비교를 위해 활용되는 것은 D2(일반정부 부채)입니다. 다만, 국제기구에 따라 D2 산출방식이 다른데요. 우리나라 기획재정부는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GFS 방식을 활용하며, OECD 이와 달리 SNA 방식을 활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