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만 콕콕
- 네이버가 라인 경영권 상실 위험에 처했습니다.
- 지분을 팔라는 일본 정부의 압박 때문인데요.
- 소프트뱅크와의 지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 한국에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있다면, 일본엔 라인이 있습니다. 일본 라인 이용자 수는 9,600만 명으로 국민 대다수가 라인을 사용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이런 라인을 만든 기업은 바로 한국의 네이버입니다. 그런데 최근 네이버가 라인의 경영권을 잃을 위기에 처했는데요.
네이버와 라인, 무슨 관곈데?
😯 네이버, 라인 경영권 잃는다?: 네이버가 처한 위기 뒤엔 일본 정부의 압박이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외국 기업인 네이버가 라인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경계해 왔는데요. 최근 불편함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네이버에 지분을 일본 기업에 넘기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 오랫동안 이어진 국적 논란: 라인을 둘러싸고 국적 논란이 벌어진 건 하루 이틀 일이 아닙니다. 라인 출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력 다수가 한국인 출신인 데다가 2019년까지 라인은 네이버의 자회사였기 때문입니다. 논란이 될 때마다 네이버는 라인은 분명한 일본 기업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도쿄에 본사를 둔 데다가 이사회 구성원 과반수가 일본인으로 이뤄졌다는 해명이었죠.
🗾 라인의 주인은 누구: 2019년 이후 라인이 일본 최대 포털 야후와 합병 절차를 밟으면서 논란이 다소 불식됐습니다. 당시 떠오르는 간편 결제 시장과 배달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던 두 회사가 불필요한 경쟁을 줄이고 시너지를 내기 위해 힘을 합치기로 했는데요. 야후 재팬의 모기업 소프트뱅크와 라인의 모기업 네이버는 라인야후를 A홀딩스라는 중간 지주사에 소속시키고 그 지분을 동등하게 나눠 가지기로 합의했습니다.
라인 지분 팔라는 일본 정부
❓ 일본 정부는 왜?: 논란에 다시 불이 붙은 건 작년 11월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에 보관돼 있던 일본 라인 앱 이용자의 연령, 성별, 거래처 종업원 이메일 주소 등 개인정보 44만여 건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일본 정부는 이를 안보에 위협이 되는 이슈라고 평가했죠.
🤜 일본 정부의 지분 매각 압박: 이에 일본 정부는 행정지도를 통해 네이버에 지분 정리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라인야후는 시스템 운영과 보수를 네이버에 위탁하는데요. 네이버가 라인야후의 지분을 가진 모기업이라 라인야후의 관리 감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판이었죠. 라인야후는 네이버에 위탁하는 업무를 축소하겠다고 밝혔지만 일본 정부는 다시 행정지도를 내리며 지분 변경을 요구했습니다. 이례적으로 동일한 사안에 대해 두 차례 행정지도를 내리면서 강경하게 대처한 겁니다.
🔎 소프트뱅크 지분 확대 지시: 동시에 일본 정부는 소프트뱅크에는 지분 확대를 주문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유출은 명분이고 일본 플랫폼을 완전한 자국 기업으로 만들려는 심산이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됐죠. 이후 소프트뱅크는 네이버가 가진 A홀딩스 지분 매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합병이 문제였다?: 상황이 악화하자 네이버가 현지 파트너 선택에 신중하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경영권 유지를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하지 않은 채 소프트뱅크에 50%의 지분을 넘긴 것이 현재의 경영권 위협으로 돌아왔다는 지적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
📜 지분매각이 이뤄지면: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를 완전히 지배하게 되면 네이버는 오랫동안 공들인 일본 내 메신저, 금융 및 전자상거래 사업을 하루아침에 빼앗기게 되는 꼴입니다.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이용자가 2억 명에 달하는 아시아 메신저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도 문제죠.
☹️ 유사 사례 재연될 수도: 이번 사안은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 라인은 일본 외에도 5,500만 명의 태국 사용자와 2,200만 명의 대만 사용자를 확보했는데요. 네이버가 일본 라인의 지분을 정리하면, 다른 국가에서도 유사한 요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한국 정부의 맞대응: 우리 정부도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한국 기업에 대한 차별적 조치가 있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내비쳤죠. 이번 이슈가 추후 한일 외교 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