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핵심만 콕콕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미국 경제를 분석한 베이지북이 지난달 30일 공개됐습니다.
- 경기 성장은 느려졌지만 공급망 개선과 수요 약화로 물가 상승 속도가 느려지고 있는데요.
- 파월 의장도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며 시장의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미국 경제를 분석한 베이지북이 지난달 30일 공개됐습니다.
- 경기 성장은 느려졌지만 공급망 개선과 수요 약화로 물가 상승 속도가 느려지고 있는데요.
- 파월 의장도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며 시장의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왜 중요할까?
베이지북은 미 연준이 발행하는 경제 동향 보고서입니다. 다음 달 진행 예정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 활용될 예정인데요. 향후 금리 인상에 영향을 주는 자료이기에 의미가 큽니다.
- 📖 베이지북(Beige Book)이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Federal Reserve Board)가 매년 8회 발행하는 미국의 경제 동향 보고서입니다. 12개의 연방준비은행이 각 지역의 경제 상황을 분석해 공동으로 발간하죠.
- 📢 8번째 베이지북 공개: 지난달 30일 올해 마지막 베이지북이 공개됐습니다. 10월 초부터 11월 23일까지의 경기 흐름에 대한 평가가 담겨있는데요.
- 📊 차후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 12월 13, 14일에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 폭이 결정되는 FOMC 정례회의가 열립니다. 베이지북은 이 회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베이지북이 읽어주는 경제 동향
이번 베이지북에 따르면 경기와 노동 시장은 완만하게 성장하거나 오히려 약간 위축했습니다. 또, 인플레이션이 저소득층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며 양극화를 유발하는 현상도 관찰됐죠.
- 📉 둔화하는 경기: 경제 성장 속도는 이전보다 감소했습니다. 12개 지역 중 5곳에서만 경기가 소폭 활발해지고 나머지 7곳은 큰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둔화했죠.
- 😥 노동 시장도 둔화: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용 지표는 완만하게 상승했지만 보스턴과 캔자스시티는 노동 수요가 전반적으로 줄었다고 보고했습니다. 또한 보스턴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점점 높아지던 임금의 상승 압박이 완화됐죠.
- 😫 소비 양극화 현상: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 양극화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소비자들은 점점 더 낮은 가격의 상품을 소비한 반면, 여행이나 고급 식당의 수요는 오히려 증가했는데요. 대신 자동차나 주택 등 더 큰 규모의 소비는 줄었습니다.
물가 상승 속도는 느려지는 중!
물가는 여전히 빠르게 상승하고 있지만 공급망 개선과 수요 약화로 상승 속도가 점점 둔화하고 있습니다. 소매 가격에 대한 하락 압력이 강해지고 주택 수요도 급감했죠.
- 😮 물가 상승 둔화: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비자 물가는 완만하거나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상승 속도는 이전 기간 대비 감소했는데요. 재고가 늘고 물류 이동이 원활해지는 등 공급망이 개선되고 치솟는 인플레이션 탓에 수요가 약화한 결과입니다.
- 🛒 소매가 하락 압력: 소비자들이 점점 더 낮은 가격의 제품을 찾으면서 소매 가격은 점점 더 높은 하방 압력을 받게 됐습니다. 식료품 가격은 여전히 상승세지만, 목재와 철강을 포함한 원재료 가격이 내려가며 일부 상품 가격도 싸졌죠.
- 🏠 주택 수요도 하락: 집값은 큰 변화가 없거나 큰 폭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요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기 때문인데요.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임대료 상승 속도도 점차 느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는?
베이지북은 공개 후 12월 금리 인상 폭 감소에 대한 기대감을 부추겼습니다. 이런 기대감이 반영돼 베이지북 발표 당일 미국 증시도 급등했죠.
- 😀 12월 금리 인상 둔화 기대: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높은 수준에 머무르다 천천히 내려올 전망이라 발표했습니다. 이후 12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폭이 0.5%P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힘을 얻었죠.
- 🎙️ 파월 의장의 연설도 뒷받침: 파월 의장의 연설도 기대감을 더욱 키웠는데요. 30일 오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연설에서 "아직 긴축 정책의 완전한 효과를 실감할 순 없지만 빠르면 12월부터 금리 인상 속도를 완화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 🎉 환호하는 미국 증시: 30일 미국 증시는 호재를 맞아 크게 상승했습니다. 베이지북이 발표된 30일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18%, S&P500지수는 3.09%, 나스닥지수는 4.41% 올랐죠.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국가마다 기준금리로 삼는 금리가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나라마다 기준금리가 어떻게 다른지, 또 기준금리는 어떻게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봐요!
👉 [상식 한입] 기준금리, 세계 각국이 서로 다르다?! -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는 다른 나라와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는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튀르키예인데요. 튀르키예는 왜 지금 금리를 내리는 걸까요?
👉 [DEEP BYTE] 튀르키예는 왜 지금 금리를 낮출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