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팔랐던 미국의 회복
작년 한 해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 확산으로 작년 미국의 경제(GDP)성장률은 -3.5%를 기록했는데요. 코로나가 막 확산하기 시작한 작년 1분기 성장률이 -5%를 기록하더니, 대유행이 시작된 2분기 -31.4%까지 곤두박질쳤습니다. 이 때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이 마비되고 소비가 위축되면서 경제가 크게 휘청거렸죠.
하지만 이후 미국의 중앙은행인 FED와 정부의 빠른 대응으로 경기회복이 가시화되기 시작했고, 3분기 무려 33.1%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가히 V자 회복이라고 할 만 한데요. 작년 4분기와 올해 1분기에는 백신과 보복소비의 영향으로 각각 4.3%와 6.4%의 성장률을 기록했죠. FED와 IMF 모두 올해 미국의 경제 성장률이 7%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만큼, 미국은 순조로운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잠시 쉬었다 가는 경제?
작년 말부터 공급망이 하나둘 정상화되기 시작하면서 공장의 조업도 원래 수준을 회복하기 시작했는데요. 민간 부문에서도 백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봉쇄 조치로 억눌린 소비가 폭발하면서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는 모양새를 보였습니다. 이런 V자 반등은 미국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나타났죠. 올해 2분기 미국의 성장률은 오는 29일 발표될 예정인데, 외신과 금융기관은 약 9.2%의 성장률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