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기차 회사들이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직접 만들겠다고 나서면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테슬라에 이어 폭스바겐, 현대차까지 다 직접 만들겠다는 배터리, 도대체 왜 이슈가 되는 걸까요?
배터리, 그만큼 중요하다는 거지
2035년 세계 각국에서 내연기관차 판매가 금지될 예정인데요.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도 모두 2025년경 전기차를 본격적으로 내놓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런 기대감에 전기차와 함께 ‘이차전지’도 큰 주목을 받았죠. 이차전지는 충전해서 쓸 수 있는 배터리로 전기차의 엔진 대신 사용되는데, 이 배터리 가격이 전기차 가격의 무려 20%를 차지합니다. 5,000만원짜리 전기차 하나를 만드는데 배터리값만 1,000만원이 드는 셈이죠.
배터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만큼 만들기도 쉽지 않습니다. 자동차 회사들은 비싸지만 직접 만들 수는 없으니 중국의 CATL이나 우리나라의 LG에너지솔루션 같은 전문 업체에서 배터리를 사서 써왔죠. 오죽하면 자동차 업체들이 “내연기관 120년사에 경험해보지 못했던 을(乙)”의 입장에 서 있다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였죠. 이런 대체 불가능한 관계 때문에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의 주가도 크게 올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