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 차가 사라지는 "카플레이션" 장기화
메인 이미지

싼 차가 사라지는 "카플레이션" 장기화

해당 콘텐츠는 BYTE의 무료 비즈니스/경제 뉴스레터, 데일리바이트의 4월 13일자 뉴스레터 콘텐츠입니다. 데일리바이트 뉴스레터를 무료로 구독하시면 매일 아침 6시 메일함에서 유익한 소식들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DAILY BYTE 뉴스레터 구독하기

ⓒ Unsplash

카플레이션(Carflation)이란?

자동차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2021년 국내에서 판매된 자동차 평균가는 2020년 대비 12%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작년부터 '카플레이션'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인데요. 카플레이션(Carflation)은 자동차(Car)와 물가상승(Inflation,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자동차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특히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저가 모델들의 가격을 올리면서, 카플레이션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데요. 테슬라는 올해 3월에만 차량 가격을 두 차례 인상했습니다. 자동차 성능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데, 가격은 2021년 초 대비 20% 가까이 상승한 것입니다. 메르세데츠-벤츠도 중형 세단 리뉴얼 모델의 가격을 전 모델 대비 600만원 높게 책정했으며, 현대차 역시 싼타페 연식 변경 모델을 이전 대비 43~154만원 인상된 가격으로 출시했습니다.

심지어 저가 모델의 출시 자체를 철회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폭스바겐은 초소형차를 대표하는 ‘업(up!)’의 후속 모델을 출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아우디 역시 소형 모델인 ‘A1′과 ‘Q2′의 단종 계획을 발표했고, 일본 도요타와 혼다 역시 소형차 ‘야리스’와 ‘피트’를 더이상 생산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 원인, 공급망 불안

카플레이션 형상의 가장 큰 원인은 자동차 원재료 및 부품 공급이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시작은 차량용 반도체 부족이었는데요. 코로나19 확산으로 오프라인 활동에 제약이 걸리자 전자제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는 예상치 못한 반도체 수요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차량용 반도체는 반도체 중 수익성이 낮은 제품이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 기업들은 한정된 설비로 굳이 차량용 반도체를 제조하고자 하지 않았죠.

결국 2020년 말부터 차량용 반도체가 부족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전부터도 완성차 업체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낮아진 자동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수익성이 좋은 고급 차량 모델에 집중해왔습니다. 여기에 더해 차량용 반도체마저 부족해지자, 저가 모델의 생산을 멈추거나 단종시키는 경향이 확산된 것이죠.

공급망의 불안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반도체 원재료와 일부 자동차 부품 공급에 차질이 생길 위험이 높은데요.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네온 가스의 경우, 글로벌 사용량의 70%를 우크라이나에서 공급합니다. 또, 폭스파겐 등 독일 완성차 업체들은 우크라이나 공장 가동 차질로 인해 차량용 전선 뭉치인 '와이어링 하네스'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두 번째 원인, 환경 규제

카플레이션의 또 다른 원인은 엄격해진 환경 규제가 꼽힙니다.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해 환경 규제가 강화되자 내연기관차보다 가격이 높은 전기차의 시장 침투율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전기차 원가 하락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어, 전기차 가격이 쉽사리 내려가지 않고 있는데요. 규모의 경제로 인해 원가가 점차 낮아질 것을 기대했지만, 공급망 불안으로 인해 예상만큼 전기차 공급이 빠르게 늘지 않은 탓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소재 가격 상승 역시 원가 상승의 원인입니다. 배터리는 전기차 전체 원가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원가 영향력이 매우 큰 부품입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소재인 리튬, 니켈 등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설상가상으로 주요 생산국 중 하나인 러시아가 전쟁을 일으키자 작년 말 대비 리튬 가격은 87%, 니켈 가격은 57% 상승하는 등 역사상 최고가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완성차의 약진?

이런 상황에서 자동차 가격이 계속 오른다면, 자동차 시장 자체가 위축되는 동시에 기성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 완성차 업체에 글로벌 점유율을 빼앗길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데요. 중국의 완성차의 경우 평균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카플레이션을 감당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중국 차량을 선호하게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간 점유율이 뒤바뀔 수 있는 만큼, 각 기업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문제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환경 규제로 인해 전기차의 시장 침투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기차 원가 상승은 카플레이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 전기차 원가 중 가장 중요한 배터리, 구조부터 종류에 소재까지 꼼꼼히 살펴봅시다!
    👉  [상식한입+] 중국과 한국의 배터리 경쟁, 그 중심의 배터리 소재
  • 사실 카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작년 말부터 제기되어 왔습니다. 반도체 공급난으로 인한 생산 차질,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 등이 겹쳐 내년부터 자동차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이었는데요. 결국 현실이 된 카플레이션. 작년에는 이 현상을 어떻게 전망했을까요?
    👉  전 세계에 카플레이션이 온다

🐋 ERIN

작년부터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큰 문제로 제기되머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동차 가격이 계속 인상된다면, 자동차 시장 자체가 위축되는 동시에 중국 완성차 업체에 글로벌 점유율을 빼앗길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데요. 이에 다른 완성차 업체들은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 앞으로도 지켜봐야겠습니다.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