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바닥 친 1분기?
메인 이미지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바닥 친 1분기?

🔎 핵심만 콕콕

  • SK하이닉스가 2분기 연속으로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부진이 1분기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는데요.
  • 다만, 2분기부터는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 전망입니다.

이게 왜 중요할까?

SK하이닉스가 2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실적 부진은 한국 반도체, 나아가 한국 수출 경제 부진의 상징과도 같은데요. 

📉 2분기 연속 적자: 지난 26일 SK하이닉스의 2023년 1분기 실적이 발표됐습니다. 2022년 4분기에 적자로 돌아선 데 이어 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죠.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대표 기업 중 하나입니다. 메모리 반도체 부진으로 한 계단 떨어졌지만 여전히 2022년 기준 세계 반도체 기업 중 매출 기준 4위를 차지하고 있죠. 국내 시가총액 3위로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 반도체 부진은 곧: 국내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반도체 산업인 만큼, 반도체 산업의 부진은 우리나라 수출의 부진으로 이어집니다.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말이기도 하죠.

 

무슨 일이야?

이번 SK하이닉스의 1분기는 암담했습니다. 작년부터 이어져 오던 반도체 한파가 지표로도 드러난 것인데요.

🏚️ SK그룹 인수 이후 최악?: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3조 4,02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 4분기에 기록한 1조 7,012억 원의 영업손실의 2배가 넘는 수치인데요. 2012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적자입니다.

🦐 매출도 크게 줄었어: 매출도 5조 881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58%)와 전기(-34%)와 비교했을 때 크게 쪼그라들었는데요. 수익성뿐만 아니라 외형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죠.

📈 주가는 반등?: 다만, 실적 부진에도 하이닉스의 주가는 상승했습니다. 26일 장 마감 기준 주가는 전날보다 2.22% 오른 8만 7,400원을 기록했는데요. 1분기가 실적의 바닥일 것이라는 데 시장의 기대감이 모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직 걷히지 않은 메모리 반도체 먹구름

SK하이닉스의 실적 부진은 작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메모리 반도체 ‘다운턴’ 탓입니다. SK하이닉스뿐만 아니라 다른 주요 메모리 반도체 기업 모두가 어려운 시기를 보내는 중이죠.

🌃 메모리 다운턴: 2021년까지 호황을 누리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2022년 경기 둔화로 겨울을 맞았습니다. 반도체 수요는 줄어들었는데, 재고는 쌓여 있는 상태가 유지되며 반도체 가격이 계속 하락했는데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은 악화한 수익성에 반도체 감산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 삼성전자 실적은?: 삼성전자 역시 반도체 부문에선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1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 손실이 약 3~4조 원으로 예상되는데요. 인위적인 감산은 없다던 삼성전자 마저 공식적인 감산을 발표했죠.

🥉 마이크론도: 대표적인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미국의 마이크론 역시 최근 실적이 악화했습니다. 2023년도 회계 연도 2분기(2022년 12월~2023년 2월) 기준 매출 36억 9천만 달러, 영업손실 약 23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사이클, 지금이 저점일까

다만, SK하이닉스도 2분기에는 시장환경이 나아질 거라 말하는 등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반등 시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메모리 반도체는 사이클: 메모리 반도체는 불황과 호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사이클’을 가진 시장입니다. 지금 같은 불황이 있다면 호황 역시 언젠가는 찾아온다는 뜻인데요.

📈 반등은 언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올해 하반기부터는 개선될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 역시 이번 2분기부터도 감산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거라고 설명했는데요. 현재는 최악이지만 앞으로 상황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죠. 실적 발표 후 주가가 반등한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 GPT, 힘내줘: Chat-GPT의 대성공 덕에 고용량 메모리 수요도 늘어날 전망입니다. 2023년의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은 생성 AI 시장의 성장이 메모리 반도체 시장 반등의 디딤돌로 작용할 수 있죠.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