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新 수출 3총사'로 보릿고개 넘고 무역수지 개선
위의 기사 제목처럼 우리는 종종 국제수지, 경상수지, 무역수지 등 수지가 들어간 단어를 접할 수 있습니다. 수지는 수입과 지출의 약어로 거래에서 얻는 이익을 의미합니다. 즉 국제수지, 경상수지, 무역수지 모두 일단은 거래에서 발생한 이익을 의미하는 것이죠.
모든 거래에는 거래의 주체와 상대방이 있습니다. 경상수지, 무역수지, 서비스수지 등 각종 수지에서 거래의 주체는 국가입니다. 거래 상대방은 다른 모든 국가죠. 어떤 국가가 다른 국가와 거래한 모든 수입과 지출의 합을 국제수지라고 하는데요. 국제수지는 상품수지, 무역수지 등 다양한 수지를 모두 포괄하는 상위의 개념입니다.
다양한 국가들이 얽히고 섞여 글로벌 가치 사슬(GVC, Global Value Chain)을 형성한 현대 경제에서 국제수지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특히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지닌 한국 경제에게는 더욱 중요한 요소죠. 한국 경제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각종 수지, 오늘 한번 제대로 정리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