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리자드를 향한 마이크로소프트의 '통 큰' 베팅
세계적 IT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게임회사 블리자드를 약 82조원이라는 거액에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블리자드는 ‘스타크래프트’를 개발한 게임 회사로 국내에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스타크래프트’뿐만 아니라 ‘워크래프트’, ‘오버워치’, ‘디아블로’ 등 이름만 들어도 알 법한 게임 히트작들의 제작사이기도 합니다. MS와 블리자드의 합종연횡은 IT업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 사례로 기록될 예정입니다.
현재 MS가 제시한 인수조건은 블리자드 주식을 주당 95달러로 전부 현금 매입하는 것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블리자드의 주가에 비해 무려 45%의 프리미엄을 얹은 가격이니, MS가 얼마나 인수에 적극적인지 느껴집니다. 인수가 성사되면 MS는 게임 업계에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구축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MS는 이번 인수합병으로 게임을 넘어 큰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그리는 큰 그림
‘마이크로소프트’하면 흔히 쓰는 업무용 소프트웨어가 떠오릅니다. 하지만 MS는 사실 이미 ‘엑스박스(Xbox)’라는 게임 콘솔을 판매하고 있던 게임회사이기도 합니다. 다만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로 대박을 터트린 소니(SONY)라는 부동의 1위 기업과 중국의 텐센트(2위), 일본의 닌텐도(3위) 등 전통적인 게임 강호들에 비해 뒤처진 상태였죠. 이런 구도를 타개하기 위해 MS 바로 밑, 게임 시장 5위에 위치한 블리자드를 합병하는 수를 둔 것입니다.
합병이 성사될 경우 MS Xbox라는 하드웨어 플랫폼에 블리자드가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수많은 히트작이 탑재됩니다. Xbox는 콘솔 외에도 ‘게임패스’라는 온라인 게임 라이브러리를 운영해왔는데요. 블리자드의 게임들은 이 게임패스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어, 마치 넷플릭스처럼 여러 가지 게임을 한 플랫폼 내에서 즐길 수 있는 형태로 배포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MS의 장기적인 비전인 ‘클라우드 기반 게이밍’의 첫 단추이기도 합니다.
*지식재산권(IP): 웹툰, 게임, 영화 등 다양한 창작물에 부여된 법적 권리로, 최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MS는 게임회사이기 이전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MS는 장기적으로 기기에 게임을 깔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여러 기기로 게임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클라우드 게임' 사업을 키워가고자 하죠. 미래 클라우드 게임 유저들을 위해 MS는 각종 게임 콘텐츠들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그렇기에 블리자드의 대작 온라인 게임들은 하드웨어 콘솔만 운영했던 MS에 소중한 전략 자산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그리는 더 큰 그림
MS의 사티아 CEO는 이번 인수합병이 크게는 MS가 메타버스 기업으로 거듭나는 주춧돌이라 밝혔는데요. “게임이 가장 흥미로운 엔터테인먼트 분야”라는 그의 말에서, 게임을 메타버스의 진입 지점으로 선정한 MS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MS를 비롯해 유망한 기업들이 메타버스 기업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죠. 블리자드가 보유한 각종 이용자 행동 분석, 시스템 구축 데이터, 온라인 게임 운영 경험 등은 메타버스를 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가 될 것입니다.
다만, 미국 규제 당국이 최근 들어 빅테크의 독점을 경계하고 있기 때문에 인수합병의 최종 심사는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블리자드와 MS의 매출액을 합치면 1위 소니와 비슷해지는데요. 그래서 소니나 닌텐도가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 블리자드와 MS는 반독점 기준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블리자드 내부에서 직원들의 성 추문 사건과 CEO의 부실 대응 등으로 사회적 이슈가 한 번 불거진 만큼, 인수합병 후 내부 수습 또한 당면 과제입니다.
🦁 DOUN
전세계 유망 기업들이 메타버스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과연 새로운 시장의 승자는 누가 될까요? 그 시장은 소비자들에게 어떤 모습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