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트럼프, 47대 미국 대통령 취임
20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수도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사당 로툰다(중앙 원형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선서하고 47대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를 국정 기조로 내세운 트럼프는 대외 군사개입 자제를 선언하는 한편 멕시코만의 명칭을 미국만으로 변경하고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되찾아 오겠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무역 시스템 재점검, 외국에 대한 관세 부과, 전기차 우대 등 친환경 산업정책 종료를 선언하는 등 통상 및 국내 정책 면에서도 전임 바이든 행정부 정책을 대거 뒤집었습니다.
계엄 사태로 경제 규모 6조 3천억 원 후퇴
계엄 사태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과 경제 심리 위축으로 올해 경제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내수 경기가 얼어붙음에 따라 실질 국내총생산이 줄어들어, 올해 경제 성장률은 작년 11월 예상치(1.9%)에서 약 0.2%P 줄어든 1.6~1.7%로 예상되는데요. 전문가들은 환율 급등에 따라 향후 통화정책이 제약받게 됐다며, 정치 불확실성이 신속히 해소되지 않을 시 더 큰 경제적 후퇴가 일어날 수도 있다고 우려합니다.
기름값, 고환율 및 국제유가 상승에 급등
서울 휘발유 평균 가격이 1,800원을 넘어서는 등 기름값 상승이 계속됩니다. 고환율 기조가 이어지면서 달러당 원화 가치가 떨어지자 국내 판매 가격이 올랐고, 미국의 러시아 에너지기업 제재 여파로 공급 우려가 확산하자 국제유가도 큰 폭으로 오른 탓인데요. 국제유가 변동은 2~3주가량의 차이를 두고 국내 주유소 가격에 반영되는 만큼, 최근 상승하는 국제유가 흐름을 고려하면 국내 기름값도 당분간 오를 전망입니다.
금융당국,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 발표
올해 하반기부터 감사의견이 2회 연속 미달인 상장사는 즉시 상장폐지되는 등 '좀비기업'의 증시 퇴출이 빨라집니다. 21일,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상장폐지 제도개선방안을 발표했는데요. 4월부터는 코스피 상장사의 상장폐지 절차에 드는 기간이 최장 4년에서 2년으로 줄어들고, 2029년까지는 상장유지요건이 최고 10배(코스피 기준 시총 50억 원에서 500억 원)로 상향 조정됩니다.
쿠팡이츠, 일본 도쿄서 시범운영 시작
배달앱 쿠팡이츠가 지난 14일부터 일본에서 '로켓 나우' 앱을 출시하며 도쿄 중심부 미나토 지역에서 음식 배달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는 쿠팡이츠의 해외 진출 첫 사례로, 일본 음식 배달 시장에서 70%를 점유한 우버이츠와의 경쟁이 예상되는데요. 국내에서 쿠팡 와우 멤버십 회원을 대상으로 무료 배달 혜택을 제공하며 급성장한 쿠팡이츠가, 멤버십 회원 기반이 없는 일본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환율, 트럼프 관세 보류에 20원 가까이 급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 연설에서 신규 관세 조치를 언급하지 않으면서, 환율이 20원 가까이 급락해 최근 한 달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예상보다 덜 과격한 취임사의 영향으로 21일 오전 9시 1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7.6원 하락한 1,434.1원을 기록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통한 무역정책 전반의 개혁을 예고했지만, 구체적인 신규 관세 부과 조치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