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메인 이미지

한눈에 보는 오늘의 뉴스

2025-04-18 11:00

넷플릭스, 2025년 1분기 호실적에 주가 상승

넷플릭스가 2025년 1분기 매출 105억 4,300만 달러, 주당순이익 6.61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넷플릭스는 실적을 견인한 효자 콘텐츠로 영국 드라마 시리즈 '소년의 시간'과 한국 드라마 '중증외상센터', '폭싹 속았수다'를 꼽았는데요. 호실적 발표 후 넷플릭스 주가는 2025년 4월 17일(현지 시각) 1.19% 상승 마감했으며, 시간 외 거래에서 2.27%까지 올랐습니다.

 

트럼프, 연준 의장에 "임기 빨리 종료돼야 한다"며 사퇴 압박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에게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하며 "내가 그에게 사임을 요구하면 그는 물러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파월 의장이 연설에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높아 인플레이션 상승 및 성장 둔화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고 언급한 데 따른 것인데요. 한편,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비난에도 임기 만료 전 사임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으며, 기준금리를 2회 연속 동결한 바 있습니다.

 

3월 철강 수출, 트럼프 관세 부과 후 18.9% 감소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 분야에서 가장 먼저 전 세계 관세 부과를 시작한 가운데, 2025년 3월 대미 철강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18.9% 감소했습니다. 다만, 수출 감소가 최근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자동차 제조용 철강판에서 두드러진 만큼, 몇 주간의 결과 만으로 관세 영향을 속단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한편, 현대제철, 포스코 등 한국 철강 업계는 장기적으로 관세 부과 영향을 줄이기 위해 현지 생산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유럽중앙은행, 관세 전쟁 우려에 6연속 금리 인하

2025년 4월 17일(현지 시각), 유럽중앙은행(ECB)이 예금금리와 기준금리를 각각 0.25%P씩 인하하며 6연속 정책금리 인하를 단행했습니다. 앞선 3월 회의에서는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유로존 경제 둔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인데요. 한편, 전문가들은 ECB가 오는 6월 예금금리를 한 차례 더 인하한 후 2026년 말까지 2.00%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명품 기업 에르메스, 관세 영향 피하고자 미국서 가격 인상

프랑스 명품 기업 에르메스가 관세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2025년 5월 1일부터 미국에서 제품 가격을 인상할 계획입니다. 아직까지는 관세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미국 시장에서 실적이 저조하고 중국에서의 매출도 늘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요. 월스트리트저널은 에르메스의 가격 인상 계획이 부유층을 상대로 하는 기업들도 글로벌 무역 긴장에 대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국내 해운주, 미국의 중국산 선박 입항료 부과에 강세

미국이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2025년 4월 18일 국내 해운사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전 9시 15분 기준 HMM은 전 거래일 대비 6.12% 올랐으며, STX그린로지스(10.27%), 팬오션(3.81%) 등도 상승세를 보였는데요. 중국산 선박 비중이 낮은 국내 해운사들이 반사 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