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와 노조 교섭안 최종 부결
삼성전자(삼전)가 제시한 임금·복리후생 교섭 최종안이 25일 노조 조합원 투표에서 최종 부결되었습니다. 삼성전자가 창사 이래 첫 노조 교섭을 예고한 사례였던 만큼, 업계의 큰 관심을 모았었죠. 21일까지만 하더라도 임금협상 타결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는데요. 하지만 노조가 제시한 임금인상 요구가 끝내 좌절되며 90.7%의 압도적인 비율로 최종안이 부결되었습니다. 삼전 노조는 이어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쟁의 행위에 돌입할 뜻을 밝힌 만큼, 파업도 예고되는 상황입니다.
막을 내린 '무노조 경영'
삼성은 창립 이래 82년간 ‘무노조 경영’을 유지해왔습니다. 노동계의 비판을 비롯한 대내외적 압력이 거세지자 2018~19년이 되어서야 첫 노조 결성이 이루어졌죠. 하지만 공식적인 단체협약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었는데요. 결국 작년 5월 이재용 부회장이 ‘대국민 사과’ 회견을 통해 노동3권을 보장하기로 약속하는 등 노조 문화 정착의 서막을 알렸습니다. 이후 8월에 최초로 교섭단체와 협약을 맺으며 본격적인 노사 협업을 예고했는데요.
그 분수령은 올해 1월 열릴 삼전의 창사 이래 최초의 노사 간 임금협약이 될 예정이었습니다. 21일 노사는 2021년도 임금협상 관련 최종 교섭에 돌입했는데요. 노조는 전 직원 계약 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 매년 영업이익 25%의 성과급 지급 등을 사측에 요구했습니다. 사측은 이에 대해 지난해 3월 정한 기존 2021년도 임금인상분을 근거로 들며 추가 인상 요구를 거절했죠. 대신 협의안에 휴식권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의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에 대한 노조 측의 반응은 긍정적이었습니다. 노조는 22일부터 조합원 투표를 통해 최종 승인 여부를 결정키로 했습니다. 23일까지만 해도 노동계를 비롯한 관계자들의 전망은 밝았습니다. 하지만 25일 최종 조합원 투표에서 반대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면서, 노조 지도부 위원장이 사퇴하고,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조정 신청절차에 돌입했습니다. 중노위 조정안을 노사 중 한쪽이라도 거절하면 노조는 합법적 쟁의에 나설 수 있게 되죠.
양측의 대응은?
노사가 중노위의 조정 기간에 견해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노조는 합법적 파업에 나설 수 있습니다. 이미 해당 안이 조합원 투표에서 압도적인 비율(90.7%)로 부결된 만큼, 양측은 견해차를 좁히기 어려워 보이는데요. 사측도 노사협의회에서 완성한 기존 2021년도 임금인상분에서 더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당시 합의된 임금 인상 폭은 기본인상률 4.5%에 성과인상률 3%까지 얹은 7.5%로, 근 10년 내 최고 수준이기 때문이죠.
재계 일각에서는 이를 시대적인 과제로 인식합니다. 지난해 SK하이닉스 성과급 논란과 마찬가지로, 이번 사태 역시 급여 산정 기준을 놓고 불거진 MZ세대 주축의 움직임이라는 해석이 나오는데요. 이번 투표를 주도한 삼성전자 노조의 경우에도 4500여명 중 MZ세대가 80%라는 (30대가 60%, 20대가 20%가량) 주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과연 국내 최고의 기업으로 꼽히는 삼성전자는 이번 사태에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DOUN
최초로 노조와 임금협약을 진행한 삼성전자. 과연, 삼전 노조는 파업에 나서게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