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하이 봉쇄 장기화
'제로 코로나'를 선언한 중국의 상하이가 3주째 봉쇄되고 있습니다. 상하이 봉쇄 조치는 원래 이달 초 4일까지로 예정되었는데요. 봉쇄 첫날인 3월 28일에 4,477명이던 상하이의 신규 확진자 수가 봉쇄 조치 이후 4월 10일 역대 최고 수치인 26,355명까지 증가하면서, 봉쇄 조치가 장기화되었습니다.
중국 당국은 일부 거주 지역에 한해 봉쇄를 풀었지만, 여전히 상하이의 절반 이상이 봉쇄되고 있어, 공장 가동을 중단한 기업들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상하이 봉쇄가 길어지며 완성차 제조업, 반도체 산업, 물류 및 운송업 등이 영향을 받아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상하이 봉쇄 직격탄 맞은 산업은?
① 완성차 제조업
상하이는 미국과 독일, 중국 자동차 업체가 연간 283만대가 넘는 자동차를 생산하는 중국 제2의 자동차 생산기지인데요. 지난달부터 이어진 봉쇄 조치로 인해 하루 2,100대를 생산하던 테슬라의 상하이 공장도 20일째 조업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다른 자동차 업체 역시 이달 중순부터 상하이 공급망 봉쇄로 생산이 중단되었죠.
중국의 지난달 자동차 생산 대수는 약 224만대, 판매 대수는 약 223만대로 집계되었습니다. 봉쇄 조치 여파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9.1%, 11.7% 감소한 수치인데요. 자동차 업계는 상하이의 봉쇄가 계속되면 중국 내 자동차 산업이 치러야 할 경제적 손실이 무척 클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② 반도체 산업
중국 반도체 업체들은 이동 제한으로 원자재와 부품,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커 제품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상하이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푸둥 장장 지역의 주요 반도체 회사들은 공장 가동을 멈추지 않기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거나, 공장 내에 침대를 두는 등 직원들을 공장에 머물게 하며 공장을 가동 중인데요. 그러나 언제 끝날지 모르는 봉쇄 조치는 인력 운용과 공급망에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심지어 이번 상하이 봉쇄는 중국 반도체 시장을 넘어 전 세계의 공급망을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죠. 중국은 전 세계 반도체 수요에서 20%가량을 차지하고 있지만, 공급망에서의 역할은 그보다도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③ 물류 및 운송업
상하이의 봉쇄로 중국 내 물류와 운송에도 차질이 생기고 있습니다. 중국 내 물동량의 추이를 보여주는 차량화물흐름지수는 지난 3월 16일 110.14로 정점을 찍은 후, 4월 10일 약 35.7% 감소했습니다. 특히 상하이는 같은 기간 88% 하락했죠.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등의 상하이 인근 지역도 계속해서 엄격한 교통 통제 정책을 유지하고 있어 컨테이너 물류 운송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상하이 무역관은 중국 수출입 통관 지연이 계속되고 4월 이후로도 상하이 봉쇄가 이어지면서, 4월 중국의 무역 상황은 수입 규모가 감소하고 수출 성장세가 둔화했던 3월보다도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했죠.
상하이 봉쇄 장기화가 우리나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하이 봉쇄가 끝나지 않으면서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역시 더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유통업계에서는 매출이 줄어드는 것을 넘어 손실로 이어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고, 증권업계에서는 이미 상하이에 진출한 국내 유통 기업의 실적 예상치 하향 조정에 나섰습니다.
대표적으로 중국 상하이에서 230개의 매장을 운영하는 '이랜드'와 중국 매출의 40% 가량을 상하이에서 생산하는 '아모레퍼시픽'은 기약도 없이 연장되는 봉쇄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는데요. 재고가 충분해 괜찮다던 기업들도 길어지는 상하의 봉쇄 조치에 우려가 커지고 있죠. 봉쇄조치에도 불구하고 상하이의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연일 2만명대를 기록하고 있어, 봉쇄 조치 해제는 더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중국의 경제도시 상하이가 '셧다운(도시 전면 봉쇄)'이라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또, 셧다운 시작 당시에 예상되었던 우려점들은 무엇이었을까요? 아래 링크에서 상하이 셧다운의 원인과 영향을 다시 짚어보세요!
👉 상하이 셧다운을 전 세계에서 주목하는 이유 - 작년 말부터 글로벌 공급망에는 병목현상이 지속되어 왔는데요. 특히 반도체와 물류에서 병목현상이 심각해지면서 인플레이션을 더욱 심화시켰죠. 세계 경제에 위협이 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BYTE+에서 공부해보세요!
👉 [DEEP BYTE] 공급망 리스크 완전해부(1): 반도체와 물류
🐭 ZIA
예상보다도 더 길어진 봉쇄이지만 아직까지도 중국의 코로나19 확진자는 감소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중국은 확진자를 0으로 만든다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데요. 다양한 산업으로의 피해가 예상되며 강력한 통제에 대한 중국 시민들의 원성 또한 높아지고 있어 장기화될수록 거대한 후폭풍을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