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 게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우마무스메)'의 국내 유저들이 항의 문구를 적은 마차를 유통사인 카카오게임즈(카겜) 본사 앞으로 보내 '마차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카겜의 게임 운영 방침에 반발하는 움직임인데요. 어떻게 된 일인지 살펴볼까요?
무슨 일이야?
카겜이 퍼블리싱 중인 게임 ‘우마무스메'의 운영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카겜은 해당 논란을 조속히 개선해 나갈 것이라 말했지만, 결국 불만을 품은 유저들이 마차를 동원해 시위에 나섰는데요
- 우마무스메는 일본 ‘사이게임즈’가 개발해 카겜이 한국에 유통 중인 게임입니다. 경주마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나오는 스포츠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죠.
- 우마무스메는 출시된 지 얼마 지나지도 않아 양대 마켓인 구글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한 인기 게임인데요.
- 일부 국내 유저들이 게임 운영에 불만을 품고 카겜 본사 앞에서 마차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게임 소재인 ‘경마’에서 착안한 ‘마차’를 시위에 동원한 건데요. 시위 진행을 위해 이용자 약 200명이 참가해 30분 만에 약 1천만원이 모금되는 등 높은 단결력을 엿볼 수 있죠.
무슨 일인데 시위까지?
유저 측은 한국 서버가 일본 서버와 비교해 공지와 소통이 미흡했다고 비판합니다.
- 특히 한달 가까이 캐릭터를 육성해야 성과를 낼 수 있는 '챔피언스 미팅' 이벤트를 개최 3주 전 공지한 일본 서버와 달리 한국 서버는 불과 사흘 전 공지된 점이 이용자들의 공분을 샀죠.
- 일부 유저들은 집단 환불 소송까지 검토 중이라고 하는데요. 4천명 이상이 참여 의사를 보였고 환불 액수는 73억원이 넘어요.
- 소송 준비를 위해 유저들은 로펌과 접촉 중인데요. 청구 금액을 전액 환불받을 가능성이 낮다고 해도 어떻게든 카겜에 타격을 주겠다는 계획이죠.
- 일본 서버와 이벤트 및 재화 지급이 다른 점, 주요 업데이트 공지가 지연된 점, 미숙한 현지화 등이 문제시됐는데요. 유저들은 총책임자의 공식 사과와 함께 유저 간담회도 요구했습니다.
게임계의 시위 물살
게이머들의 트럭 시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넷마블의 ‘페이트 그랜드 오더’, 넥슨의 '메이플스토리' 유저들도 트럭 등을 동원해 시위했는데요. 이렇게 다양한 '퍼포먼스’를 벌이는 시위가 일종의 문화로 자리 잡았죠.
- 과거 게임 유저들은 운영에 대한 불만을 커뮤니티 등을 통해 표출하거나, 게임을 하지 않는 것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적극적인 행동으로 의사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시위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 ‘자비'를 투입해 상당히 큰 규모의 금액을 모금한는 등 자기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게이머가 늘어나는 추세죠.
- 업계에서는 이용자와의 '소통' 능력과 정책이 게임 흥행의 새로운 변수가 됐다고 해석합니다. 유저들이 공식 사과문이나 보상책에 만족하지 않고 진정성 있는 소통에 대한 노력과 강도 높은 대응책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죠.
1일 오후 6시경 우마무스메 공식 카페에 사과문이 올라왔지만 반응은 냉랭하기만 합니다. 카카오게임즈의 3분기를 책임질 것만 같았던 우마무스메의 흥행에도 먹구름이 끼었는데요. 유저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지, 카겜의 대책이 궁금해집니다.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지금은 잡음이 나오고 있지만 최근까지 카카오게임즈는 엄청난 실적을 보였는데요. 그 비결은 도대체 뭘까요?
👉 [기업 한입] '카카오게임즈'의 실적 대박, 비결은? - 코로나19 시대, 게임 업계는 가장 크게 성장한 업계 중 하나로 꼽힙니다. 하지만 2분기 실적은 조금 차이가 났는데요. 자세히 살펴볼까요?
👉 희비 엇갈린 국내 게임사 2분기 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