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임과 횡령 혐의로 거래 정지됐던 신라젠의 거래가 재개됐습니다. 올해 초 개선계획 이행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상장폐지를 선고받았지만, 경영정상화를 위해 다시한번 노력한 결과인데요. 많은 소액주주가 안도했을뿐더러 바이오산업에 대한 만성적인 불신도 일부 해소되리라 기대됩니다.
🤔 신라젠 상장 유지, 왜 중요하지?
신라젠은 한때 코스닥 시가총액 2위에 오를 만큼 규모가 큰 기업입니다. 거래정지 당시 코스닥에서 소액주주비중이 가장 높았던만큼 이번 결정으로 경제 위기에서 벗어난 개인투자자가 많은데요. 또한 바이오산업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다는 기대도 있습니다.
- 신라젠 = 시총 2위 바이오 기업: 신라젠은 2016년 코스닥에 상장된 바이오 벤처 기업입니다. 바이러스 면역항암제 펙사벡(JX-594)을 연구개발 중이었는데요. 2018년에는 코스닥 시가총액 2위까지 올랐던 만큼 거래정지가 결정됐을 때 시장은 큰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 신라젠 = 개미들의 지옥?: 2020년 기준 신라젠의 개인주주비율은 당시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높은 61%였습니다. 올해 상반기까지도 신라젠에 발이 묶인 소액주주가 무려 16만 5,483명에 달했는데요. 13일 신라젠의 거래가 재개되며 많은 소액주주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습니다.
- 바이오산업도 뜰 수 있다?: 이번 결정은 물음표가 가득하던 바이오산업이 정상적으로 운용될 수 있음을 인정하는 메시지라고도 해석됩니다. 뿌리 깊은 불신을 일부 해소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하죠.
🚧 신라젠 거래 정지는 왜?
신라젠은 문은상 전 대표를 비롯한 경영진의 배임 및 횡령 혐의로 거래가 정지됐습니다. 기업심사위원회가 1년의 경영개선 기간을 부여했지만 결국 2021년 1월 상장폐지가 결정됐는데요. 개선계획 중 하나인 이익 실현에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 배임과 횡령으로 거래 정지: 신라젠은 2020년 5월 경영진의 배임과 횡령 혐의로 거래가 정지됐는데요. 문은상 전 신라젠 대표는 페이퍼컴퍼니를 이용해 신라젠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불법 매입해 회사를 인수한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받았죠.
- 1심, 경영개선 기간 1년: 2020년 11월 기업심사위원회는 신라젠에 경영개선 기간 1년을 부여했습니다. 기간 내에 경영을 정상화하면 상장폐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요. 신라젠은 엠투엔을 최대 주주로 맞아 자본을 모으는 등 개선계획을 이행하려 노력했습니다.
- 1년 후에는 어땠냐고?: 2022년 1월 기업심사위원회는 개선계획 이행 정도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상장폐지를 결정했습니다. 이익 실현 방면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죠.
👌 신라젠은 어떻게 거래가 재개될 수 있었을까?
코스닥시장위원회가 다시 한번 신라젠의 상장유지 여부를 심의한 결과 신라젠에 경영개선 기간이 다시금 부여됐습니다. 주어진 6개월 동안 신라젠은 파이프라인을 확장하는 등 개선계획을 이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는데요. 결국 지난 12일 신라젠의 상장유지가 결정됐습니다.
- 2심, 경영개선 기간 6개월: 기업심사위원회의 결정에 신라젠이 이의를 제기하자 사안은 코스닥시장위원회로 넘어갔는데요. 2021년 2월 코스닥시장위원회는 신라젠에 개선기간 6개월을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 개선계획 이행: 지난 심사 때도 이익 실현 여부가 발목을 잡았던 만큼 신라젠은 펙사벡과 SJ-600 외 다른 파이프라인을 도입해 영업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 결과 스위스 제약사 바실리아(Basilea)와 항암제 후보물질 BAL0891 도입계약을 체결했는데요. 연구개발 분야 임상 책임 임원을 채용해 인력도 확충했죠.
- 상장유지 결정: 코스닥시장위원회는 자금 유보량과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습니다. 그 결과 지난 12일 신라젠 상장유지 결정을 내렸으며, 13일부터 신라젠 거래가 재개됐는데요. 시초가는 2020년 5월 4일 거래정지 직전 종가 12,100원에 훨씬 못 미치는 8,380원이지만, 장중 29.5% 상승한 10,850원에 거래를 마쳤죠.
📈 신라젠의 전망과 영향은?
신라젠은 앞으로도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신라젠의 주가는 앞으로 크게 오르리라 예상되는데요. 한편, 신라젠과 마찬가지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인 코오롱티슈진의 회생 기대감 역시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 열심히 할게!: 신라젠은 현재 글로벌 제약사 리제네론과 함께 펙사벡의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며 결과를 내년 내로 공개할 계획입니다. 신규 항암물질 BAL0891은 미국 현지에서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죠.
- 주가도 다시 오른다! : 상장이 유지됐다는 사실 자체가 신라젠 주가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경영 상황이 크게 개선됐음을 증명하기 때문이죠.
- 혹시 코오롱티슈진도?: 코오롱티슈진의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업심사위원회가 이번 달 25일 열리는데요. 신라젠 거래 재개 결정이 코오롱티슈진의 거래 재개 판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주목받습니다.
갑작스러운 거래 중지로 많은 소액주주를 패닉에 빠트렸던 신라젠이 다시 시장으로 돌아왔습니다. 신라젠은 좋은 실적을 내 위기를 완전히 극복할 수 있을까요?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신라젠은 만고의 노력 끝에 가까스로 상장폐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과연 상장폐지는 어떤 기업이 대상이고, 어떤 절차를 거쳐 진행될까요?
- 시장에는 아직 바이오산업에 대한 불신이 팽배합니다. 그러나 코로나19 당시 한국 제약사는 백신 CMO 계약을 체결하고 자체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는데요. 제약 산업의 개념부터 트렌드까지, 함께 정리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