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3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우리나라는 환율과 물가 상승, 수출 둔화를 우려하는데요.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에 고금리로 인한 부작용이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무슨 일이야?
미 연준은 지난 21일 기준금리를 0.75%P 인상했습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는 3.00%~3.25% 범위로 상향됐는데요.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한 연준의 결정입니다.
- 미 연준은 이미 지난 6월과 7월 두 차례의 자이언트스텝을 밟았습니다. 21일(현지 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3연속 자이언트스텝이죠.
- 자이언트스텝이란 금리를 한 번에 0.75%P 인상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번 인상으로 연방기금금리가 3.00~3.25% 범위로 올랐습니다. 2008년 이후 1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 공격적인 금리 인상 배경에는 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연준은 올해 말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지난 6월 전망치보다 0.2%P 높은 5.4%로 제시했는데요. 한편, 경제 성장은 더욱 더딘 모습입니다. 경기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6월 전망치보다 0.2%P 낮은 1.5%죠.
영향은? 원/달러 환율 상승
미국 기준금리가 다시 한국 기준금리를 웃돌게 됐습니다. 금리 역전은 원/달러 환율 인상으로 이어지는데요. 이미 치솟을 대로 치솟는 환율 때문에 높아진 국내 물가가 걱정입니다.
- 8월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한 이후 양국의 기준금리는 같았는데요. 이번 자이언트스텝으로 미국 기준금리(상단 기준)가 0.75% 앞서 나갑니다.
- 최근 달러 초강세로 원/달러 환율은 이미 1,400원에 육박해 있었습니다. 금리인상이 발표된 직후인 22일, 원/달러 환율은 결국 1,400원을 돌파했는데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환율입니다.
- 고환율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수입물가는 결제통화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10.7% 상승했는데요. 원화 기준으로 보면 전년 대비 22.9% 상승했습니다. 실질적인 물가 상승이 더 심해지는 것이죠.
영향은? 한국 수출 둔화
금리 인상으로 미국 경기가 위축하면 한국 수출에도 악영향이 예상됩니다. 미국은 한국의 2위 수출 대상국인데요. 이미 한국의 수출액은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 지난 7월 집계된 우리나라의 2022년 미국 상대 총수출액은 100조 2,788억 달러로, 중국에 이은 2위 수출 대상국입니다.
- 우리나라의 수출은 이미 둔화 징후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지난 6월 수출액 증가율이 16개월 만에 한 자릿수로 떨어졌는데요. 지난 8월 수출액 증가율은 6.6%로, 석 달째 한 자릿수를 유지 중입니다.
- 금리 인상이 전 세계적인 기조가 되며 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에 불리한 환경이 이어집니다. 지난 8일, 유럽중앙은행(ECB)도 자이언트스텝을 결정했는데요. 세계은행은 각국이 동시에 50년 만에 가장 강력한 수준으로 긴축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금리는 어떻게 될까?
원화 가치 방어와 물가 안정을 위해선 한국은행 역시도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압박이 강해졌습니다. 그러나 금리 인상은 경기 위축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 부작용이 우려되는데요.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미국보다 금리 인상을 먼저 종료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세 번째 자이언트스텝을 밟은 이상 한국 기준금리도 이에 맞춰 인상될 가능성이 크죠.
- 그러나 금리 인상은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를 위축시킵니다. 특히 기업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는데요. 실제로 국내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기업이 이미 61.2%에 다다랐습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타격에서 회복하려면 우리나라도 기준금리 인상이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이 또한 얼어붙은 내수 경기에 충격을 가하는 꼴인데요. 딜레마에 빠진 한국, 이 위기를 무사히 헤쳐 나갈 수 있을까요?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방공개시장시장위원회(FOMC)에서 결정하는데요. FOMC에는 누가 참여하고 각각의 FOMC 위원들은 어떤 성향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미국의 이번 조치로 다시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을 웃돌게 됐습니다.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면 외국인 자본이 유출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는데요. 금리 역전의 영향과 한국은행의 대응, 함께 정리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