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w=3840&q=75)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심화된 인플레이션이 고용 불안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비용 상승과 경기 둔화로 실적이 악화된 기업들이 신규 고용을 축소하고 인력을 감축했기 때문인데요. 고용 불안은 경기 악화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 시장의 우려가 점점 짙어지고 있습니다.
심각한 글로벌 인플레이션
전 세계가 이례적인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고용 안정성이 저해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물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러시아는 화석연료의 주요 수출국이고, 우크라이나는 세계 최대의 곡창 지대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전쟁의 나비효과로 인플레이션의 핵심 지표인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을 필두로 세계 각국은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 6월 금리를0.75%P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는데요. 파월 연준 의장은 7월 0.5%P 또는 0.75%P의 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
기업의 실적 악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은 기업 실적 악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기업들의 수익성이 낮아지고,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저하되며 경기가 위축되었기 때문인데요. 인플레이션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업들의 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대부분 매출이 하락하기보다 비용이 상승하여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이는 원자재 가격이 인상 때문인데요. 특히나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를 넘어서며 물류비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 물가가 급등하자 소비 심리 역시 위축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화되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약화되자 수요가 점점 축소되고 있는데요. 일례로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불러일으켰던 반도체마저도 최근 출하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비용을 아껴라, 빅테크 기업의 고용 축소
경기가 점차 둔화하고 전망 역시 밝지 않자, 기업들은 인력을 감축하여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습니다. 채용 속도를 늦출 뿐만 아니라 일부 직원을 해고하여 시장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것입니다.
- 미국 빅테크 인력 감축의 신호탄은 테슬라였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임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인력을 10% 감축해야 한다고 말했죠. 논란이 불거지자 채용 인원은 줄어도 전체 직원 수는 증가할 것이라며 감원 계획을 정정했는데요.
- 하지만 정규직 수는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며 인력구조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였습니다. 실제로 테슬라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 350명 중 200명을 해고했는데요. 상당수가 자동차 영상 데이터 라벨링을 담당하던 계약직으로 알려졌습니다.
- 메타의 CEO 마크 저커버그는 올해 계획했던 1만명 신규 채용 목표를 6,000~7,000명으로 축소했습니다. 또, “현실적으로 회사에 있어선 안 될 사람이 많다”라며 기존 인력 감축을 예고했습니다.
- 반도체 기업인 인텔과 엔비디아 역시도 인력 감축을 발표했는데요. 인텔은 지난 6월 하반기 전망이 불확실하다며 PC 반도체 부문의 신규 고용을 잠정 중단했습니다. 엔비디아도 가상자산 채굴 시장 둔화를 근거로 계획된 신규 고용을 취소했습니다.
더블딥? 스태그플레이션?
고용 한파와 실업률 상승은 경기 악화의 신호탄으로 읽히고 있습니다. 특히나 미국 경제는 올해 하반기 더블딥과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 미국의회조사국(CRS)은 지난 3일 미국 경제가 더블딥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더블딥이란 경기 후퇴 후 회복기에 접어들다가 다시 경기가 후퇴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입니다.
- 동시에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지 않으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굳어지면서 물가와 실업률 간 관계가 약해지고, 결국 물가와 실업률이 함께 오르는 1970년대식 스태그플레이션이 닥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실업률과 물가가 동시에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경제학적으로 이해해볼까요?
👉 스태그플레이션과 슬로플레이션 - 세계 경제는 회복과 유동성의 시기를 지나 둔화와 긴축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데요. 이에 기업과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 위기가 끝나자 찾아오는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