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관세 전쟁 개막, 이제 상호 관세까지?
메인 이미지
© Unsplash

제2의 관세 전쟁 개막, 이제 상호 관세까지?

🔎 핵심만 콕콕

  • 이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가 부과됩니다.
  • 곧 상호 관세도 시행될 예정인데요.
  • 철강 관세 부과 소식에 국내 철강주는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 트럼프가 꺼내 든 무기: 지난 10일(이하 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 임기 때도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매긴 적이 있는데요. 이번엔 알루미늄의 관세 비율을 높여 또다시 수출국을 혼란스럽게 했습니다.

🛡 상호 관세도 시작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일이나 12일에 상호 관세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불리한 교역 조건을 적용하는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적이 있는데요. 아직 상호 관세의 정확한 범위나 수준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지만, 발표 직후 상호 관세가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 상호 관세: 상대국이 자국에 부과하는 관세만큼 자국도 상대국에 동일한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입니다. 만약 한국이 미국 제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도 한국 제품에 15%의 관세를 매긴다는 거죠.

😵‍💫 한국의 관세, 운명은?: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 관세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며 “우리와 비슷한 관세가 있는 곳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는데요. 다행히 한국은 일전에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라 미국산 제품의 관세를 거의 철폐했으므로, 상호 관세 적용에서 비켜 갈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중국과 미국, 제2의 관세 전쟁?

🔥 중국 vs 미국: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자 중국도 보복 관세를 개시했습니다. 캐나다, 멕시코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전 정상 간 대화를 통해 관세 부과를 유예한 것과 달리, 시진핑 주석과는 대화하지 않은 채 중국에 보편 관세를 매기며 제2의 관세 전쟁의 서막을 알렸다는 이야기가 나오죠.

💸 관세가 어느 정도이길래?: 중국은 10일 0시(중국 현지 시각)부터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에 15%,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 10%의 관세를 추가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관세와 함께 구글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와 광물 자원 수출 통제 등의 보복 조치도 함께 발표했습니다.

💭 관세, 더 오를지도 몰라: 중국의 보복 관세가 시행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더 많은 관세를 매길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는 “중국이 보복 조치로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거나 유사한 조치를 취할 경우 대통령은 관세율을 추가 인상하거나 관세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죠.

 

트럼프가 쏘아 올린 작은 공, 관세

📉 눈물 나는 철강주: 철강 업계를 둘러싸고 관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철강주는 일제히 약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10일, 철강 대장주 POSCO홀딩스는 전 거래일 대비 0.84% 하락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했고, 대한제강은 3.91% 내린 1만 5천 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 코스피는 선방: 다행히 코스피가 크게 무너지지는 않았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부과 소식에 장중 2,500선을 밑돌기도 했지만 반발 매수세의 유입으로 하락세를 좁히며 2,521.27(-0.03%)로 마감했습니다.

💲 다시 치솟는 환율: 다만, 관세 불안에 달러/원 환율은 1,450원대로 올라섰습니다. 미국이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내 물가가 오르면서, 미국의 금리 인하가 미뤄지고 달러 가치가 높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 반면,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에서는 철강과 알루미늄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원화 가치는 하락 압력을 받습니다. 미국의 높은 관세로 한국의 철강과 알루미늄 수출이 줄어들면, 한국으로의 달러 유입이 줄어들고 원화 가치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죠.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