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가격, 7월부터 오른다?
메인 이미지
© Unsplash

시멘트 가격, 7월부터 오른다?

🔎 핵심만 콕콕

  • 시멘트 업계가 7월 가격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부담이 심하다는 이유인데요.
  • 건설 업계와 레미콘 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이게 왜 중요할까?

시멘트 업계가 가격 인상을 예고해 논란입니다. 시멘트는 건설에 사용되는 핵심 자재로, 사실상 독과점 체제다 보니 가격 변화가 민감한 주제일 수밖에 없죠. 분쟁이 심해지면 일반인의 피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평가인데요.

🧱 너 없으면 안 돼: 시멘트는 건축 곳곳에 쓰이는 콘크리트를 만드는 재료입니다. 건축 과정의 중요 원료다 보니 시멘트 산업은 대표적 기간 산업으로 꼽히죠.

🏗️ 연관 업계, 관심 집중: 당연히 레미콘, 건설 등 시멘트 가격 인상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는 관련 업계가 바로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시멘트 시장은 사실상 몇 개의 주요 업체가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형태라 가격 인상은 더욱 민감한 주제로 받아들여집니다.

🥊 잦았던 싸움, 이번에도?: 작년 9월에도 시멘트 가격 인상에 반발한 레미콘 업계가 파업에 들어서는 등 마찰을 빚은 적이 있습니다. 이런 파업이나 갈등으로 공사가 지연되면 국민 피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문제죠.

 

시멘트 가격에 정부도 주목

시멘트 기업 중 두 곳이 가격 인상을 예고한 상태입니다. 관련 업계의 반발이 거세자 정부도 적극적인 중재에 나섰는데요.

💰7월부터 인상: 가격 인상을 예고한 것은 출하량 기준 국내 1위 업체인 쌍용 C&E와 대표 7개 업체 중 하나로 꼽히는 성신양회입니다. 두 기업 모두 톤당 약 14% 정도 인상된 12만 원대의 가격을 제시했는데요. 보통은 이런 상황에선 다른 기업들도 가격을 올리는 게 일반적입니다.

🏚️ 이러면 우리는 남는 게 없어: 건설 업계는 가격 인상을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는데요. 23일 국토교통부가 주재한 회의에서 시멘트 가격이 오르면 평당 약 1만 7,300원씩 공사비가 늘어난다며 업계가 짊어져야 할 부담이 과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정부 중재 나섰지만…: 갈등이 심해질 조짐에 정부도 중재에 나섰습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나섰던 데 이어 산업통상자원부도 간담회를 열고 시멘트 업계에 정책적 지원을 고려할 테니 업계도 노력해달라 당부하기도 했죠.

 

시멘트 가격, 올릴 수밖에 없다니까?

시멘트 업계는 작년부터 이어진 경영 부담이 심각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유연탄 가격은 비교적 안정화됐지만 늘어난 전기요금이나 설비투자 금액 등은 여전한 부담이라는 설명인데요.

🪨 누적 적자, 심각해: 작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시멘트 업계는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주요 원자재인 유연탄 가격이 급등한 탓입니다. 올해 들어 비교적 유연탄 가격이 안정화되는 흐름이지만, 아직은 부담이 커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 전기요금도 문제야: 올해 들어 인상된 전기요금 역시 가격 인상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전기요금은 시멘트 제조원가의 약 20~30%를 차지하는 만큼 무시할 수 없다는 주장이죠. 실제로 쌍용 C&E가 올해 1분기 17억 원의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 탄소중립 지키려면: 시멘트 업계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설비투자 금액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도 부담이라 토로했습니다.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투자 규모는 당분간 계속 늘어날 전망이죠.

 

그래도 이건 아닌 것 같은데

하지만 최근 시멘트 가격 인상이 반복되다 보니 건설 업계나 레미콘 업계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못합니다. 아직 입장 차이도 거의 좁혀지지 않았는데요.

📈 이게 몇 번째야: 건설 업계와 레미콘 업계는 이미 시멘트 가격이 크게 오른 상태라 지적합니다. 2021년에 비하면 40% 정도 상승했다는 거죠.

🤑 원가 산정, 대체 어떻게 하길래: 최근 유연탄 가격이 오히려 낮아진 점을 들어 원가 산정 방식에 의구심을 품기도 했습니다. 시멘트는 원가 산정 구조가 워낙 복잡한 탓에 원가가 정확하게는 알려져 있지 않은데요. 건설 업계는 인상의 근거가 미심쩍다는 눈초리입니다.

🗣️ 평행선을 달리는: 서로의 입장차는 당분간 좁혀지지 않을 전망입니다. 각자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만큼 쉽게 양보하지 않을 모양새죠.

🤔 평소보단 신중: 다만, 가격 협의가 비교적 원만하게 이뤄질 가능성을 점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정부까지 중재에 적극적이다 보니 평소와는 다르게 아직 기업 대부분이 가격 인상을 발표하지는 않은 상태기도 합니다.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