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우로 인한 차량 침수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요즘, 과연 전기차는 안전할까요? 침수가 감전 피해로 이어지면 어떡하죠? 걱정과 달리 전기차는 다양한 침수 대비 기능을 탑재해 감전 위험은 거의 없는데요. 다만 노후한 차량의 경우 설계대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침수 피해, 전기차는?
지난 8일 중부 지방에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하룻밤 사이에 침수된 수천대의 차량 중 전기차 역시 상당수 포함됐는데요. 전기차가 물에 잠겼을 때 과연 감전 사고가 일어나지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지난 8일 중부 지방에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은 양인데요. 전기차 역시 일반 휘발유 차량과 마찬가지로 바퀴 절반 이상이 물에 잠기면 차체에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고, 회로와 동력 장치에 무리가 가기 시작합니다.
배터리 침수 위험?
전기차 침수 시 가장 문제인 부품은 배터리인데요. 배터리는 차체 바닥에 장착되기 때문에 침수되기 쉽지만, 그만큼 배터리팩이 철저하게 설계돼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 고전압 배터리는 차체 바닥에 장착돼 지면으로부터 40c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데요. 물에 잠길 가능성이 큽니다.
- 이 때문에 배터리팩은 애초에 침수를 대비해 설계됩니다. 출시 전 수밀 시험과 침수 시험을 거치는데요.
- 수밀 시험이란 배터리팩 내 수분 유입 차단 기능의 이상 유무를 검증하는 시험이고, 침수 시험이란 소금물에 배터리가 침수됐을 때 발화나 폭발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 배터리팩도 스마트폰처럼 방진방수 등급을 평가받습니다. IP(International Protection) 등급 평가라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IP67 등급 이상을 받은 제품만 상용화됩니다. 배터리팩이 최소 30분 이상의 침수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죠.
만약 배터리가 외부 충격을 받으면?
혹시 배터리팩이 외부 충격으로 손상된다면 어떨까요? 이때도 배터리 보호 모듈이 작동돼 과전류와 과전압을 차단하기 때문에 큰 위험은 없다고 합니다.
- 낮은 확률로 배터리팩이 외부 충격을 받아 팩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지만, 이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Fail-Safe를 활용한 안전 설계가 적용돼 있는데요.
- Fail-Safe란 전체 구조 중 일부에 고정이나 오류가 발생할 때 안전장치가 작동하도록 설계해 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 배터리를 보호하는 대표적인 시스템은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인데요. 상시 과전류, 과전압, 과온 등을 진단해 기준치를 벗어나면 전류를 차단해 전기가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만듭니다.
충전소는 안전할까?
충전소 커넥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물이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요. 이또한 충전구 설계상 물이 차량 내부로 들어갈 수 없어 안전하다고 합니다.
- 충전소의 커넥트에 묻은 물기가 충전구를 통해 차량 내부에 들어갈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데요. 국내 충전소 90% 이상이 지붕이 없어 더욱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 다행히 충전구는 물이 들어갈 수 없게 설계돼 있습니다. 충전구 내부에는 배출구인 드레인 홀이 있어서, 비가 오는 환경에서 충전하더라도 전기차 내부로 액체가 흘러 들어가지 않고 밖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그러나… 노후화는 주의하자
전기차 배터리에 수많은 안전장치가 있다고 하지만 노후화의 위험은 분명히 있는데요. 가능성이 작다고 해도 물을 멀리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 전기차 배터리가 침수를 대비해 만들어졌다고 해도 전기장치와 물이 상극이라는 명제가 거짓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물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내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요. 시간에 따른 필연적인 노후화 역시 경계해야 합니다.
- 전기차 업계 관계자 역시 침수로 인한 안전사고 가능성은 작지만, 물과 최대한 접촉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은 요즘 모든 완성차 업체의 필수 과제입니다. 우리나라에만 친환경 차는 100만대 넘게 존재하는데요. 크게 세 종류로 나뉘는 친환경차, 자세히 알아볼까요?
👉 [상식 한입+] 친환경차의 세 종류, 하이브리드 vs 전기차 vs 수소차
-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현대자동차, 전기차 시장 공략법과 전기차 시장에서 꿈꾸는 미래, 그리고 올해 주목받는 신차까지 자세히 정리했니다. 함께 살펴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