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핵심만 콕콕
- 얼마 전 상장폐지됐던 위메이드의 가상화폐 위믹스를 코인원이 최근 재상장하기로 했습니다.
- 거래량이 상당했던 위믹스 재상장으로 수익성을 높여려는 거래소의 의도가 엿보이는데요.
- 위메이드 생태계의 기반이었던 위믹스가 부활하면서 위메이드도 본격적인 청사진을 다시 그려나갈 수 있게 됐습니다.
(썸네일 출처: 위믹스 홈페이지)
이게 왜 중요할까?
위메이드가 자체 발행한 가상화폐 위믹스는 위메이드가 꿈꾸는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의 핵심 요소입니다. 국내 거래소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컸던 만큼 가상자산 시장에도, 최근 위기를 겪는 P2E(Play to Earn) 게임 시장에도 호재인데요.
- 🪙 위믹스는: 위믹스는 게임회사 위메이드가 설계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의 기축 통화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계획된 유통량보다 실제 유통량이 많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됐는데요. 당시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가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재상장으로 위메이드의 청사진에도 파란불이 켜졌죠.
- 📉 거래소의 목표: 위믹스가 국내 코인 거래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 않습니다. 위믹스 재상장은 상장폐지로 수입이 줄었던 거래소 입장에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죠.
- 🕹️ P2E 시장에도 희망이: 최근 연이은 등급분류 결정 취소로 위기에 빠진 P2E 게임(플레이하며 돈을 버는 게임) 업계에도 한줄기 빛이 될 전망입니다. 위메이드가 글로벌 P2E 게임 시장에 진심이고,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기 때문이죠.
돌아온 위믹스, 여파는?
위믹스의 재상장을 결정한 것은 국내 3위 거래소 코인원입니다. 거래량이 꽤 되는 위믹스를 다시 상장해 수익성을 어느 정도 회복하려는 목적으로 읽히는데요. 위메이드도 거래소를 상대로 걸었던 소송을 전부 취하했습니다.
- 🏁 스타트 끊은 코인원: 코인원은 지난 16일부터 위믹스를 다시 상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상장폐지 당시 문제가 됐던 유통량 문제 등이 모두 해소됐다고 판단했다는 설명인데요.
- ⚖️ 가처분 항고 취하: 위메이드도 디지털자산거래소협의체(DAXA) 소속인 국내 4대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에 제기했던 가처분 항고를 전부 취하하며 호응했죠.
- 📈 위믹스 효과는?: 상장폐지 결정 이후 210원까지 폭락했던 위믹스 가격은 지난 20일 기준 2,900원대까지 상승했습니다. 코인원에서의 거래량 비중도 한때 3위까지 상승했다가 20일 기준 5위 선을 지키고 있죠.
- 👀 다른 거래소의 움직임?: 코인원이 물꼬를 트면서 다른 거래소도 재상장을 고심 중이라고 알려졌습니다. 상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큰 만큼 다른 거래소 중에도 앞으로 다시 상장을 선택할 곳이 꽤 될 전망인데요.
- 🤔 문제없는 거 맞아?: 다만, 코인원의 선택이 적절한지는 의견이 나뉩니다. DAXA와의 논의도 없었다고 알려졌고, 위메이드가 지적받은 문제가 다 해결됐는지도 아직 미지수라는 우려도 나오죠. 후일 다시 위믹스에 문제가 발견된다면 코인원이 비판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다시 시동 거는 위메이드
위믹스 재상장과 함께 위메이드는 생태계 확장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기존 게임도 흥행에 성공했고, 새로운 프로젝트인 ‘위믹스 캔버스’도 공개했습니다.
- ☀️ 미르M의 흥행: 지난 20일 위메이드의 P2E 게임 ‘미르 M 글로벌’의 동시접속자 수가 14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인데요.
- 📈 주가도 급등: 위믹스의 재상장일이었던 16일을 기점으로 위메이드의 주가도 약 10,000원가량 상승해 현재 5만 원 중·후반 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5일 2022년 4분기 실적 발표 자리에서 올해는 흑자 전환을 노리겠다는 포부도 밝혔죠.
- 📰 위믹스 캔버스?: 지난 17일 공개한 국내 최초의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프로젝트인 위믹스 캔버스도 주목할만 합니다. 위믹스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사용하기 용이한 기술인데요. 레이어1보다 거래 속도나 비용 등에서 강점을 지닙니다.
- 🎮 P2E 게임 시장: 최근 악재만 가득했던 P2E 시장에는 오랜만에 훈풍이 불었습니다. 네오위즈와 컴투스 등의 관련 업계 주가도 16일을 기점으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