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위협하는 '3고(高) 현상'
메인 이미지

한국 경제 위협하는 '3고(高) 현상'

ⓒ Unsplash

유가, 환율, 금리 모두 치솟는 중

유가와 환율, 금리가 모두 치솟고 있습니다.이른바 '3고(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인데요. 우리나라가 1980년대 후반 저유가, 저달러, 저금리로 인해 호황을 누렸던 것과 대조되는 양상입니다.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4일 배럴당 90.22달러를 기록하였는데요. 단기 저점을 기록했던 12월 2일과 비교하면 21달러가량 상승한 것으로 두 달 사이 30% 가까이 상승하였습니다. 원화 가치도 하락하고 있습니다. 최근 환율은 1,200원 안팎을 맴돌고 있는데요. 3일에는 1,206.4원을 기록하며 1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연 3.63%로 상승하며 7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죠.


환율의 상승은 수입 물가의 상승을 초래하는데요. 유가와 환율이 동시에 오르며 물가 역시 급등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은 4개월 연속 3%대를 보였고, 외식물가는 1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금리까지 오르면서 서민 경제의 부담이 더욱 가중되었는데요. 생필품, 식자재와 같은 생활 물가가 오른 데다가 가계 대출에 대한 이자 부담 역시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유가, 환율, 금리가 치솟는 이유는?

① 고유가 : 지정학적 리스크와 제한적 생산

국제유가의 상승에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제한적 생산 등이 함께 작용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 예멘 반군의 아랍에미리트 석유 시설 공격 등으로 인해 석유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면서 원유 가격이 상승한 것인데요. 미국의 증산 요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포함된 OPEC+가 하루 40만 배럴만 증산한다는 기존의 방침을 고수한 것 역시 국제 유가 상승을 초래했습니다.


② 고환율 : 미국의 금리 인상

환율의 상승은 미국의 금리 인상에 기인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킬 목적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3월 중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을 예고했는데요. 미국의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해외로 떠났던 미국 자본들이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가장 안전한 미국에서 이자도 더 많이 준다는데, 굳이 위험을 감수하고 해외에 돈을 투자할 필요가 없겠죠?  


해외 자본이 빠져나가게 되면 결국 국내에 남아있는 달러화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원화의 양이 그대로라면 달러화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환율도 자연스럽게 높아지겠죠. 뿐만 아니라, 예상보다 빠른 미국의 긴축 속도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달러화에 대한 선호가 증가한 것 또한 환율의 상승을 유도했습니다.


③ 고금리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국내 금리의 상승은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난달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을 진정시키고 미국 연준의 긴축에 대비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였는데요. 이에 따라 대출 이자율과 연동되어 있던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이자 부담이 증가하게 된 것입니다.

3고 현상, 언제까지 지속될까?

3고 현상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 유가의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인데요. 골드만삭스는 올해 3분기 원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에 이를 것이라 예상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국제 유가가 진정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국내에 반영되는 데에는 2~3주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고유가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연준은 올해 네 차례 이상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고 관측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역시 글로벌 긴축과 높은 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두 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환율과 금리가 안정화되는 데에도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BYTE 콘텐츠

  • 요즘 원유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는데요. 그런데 국제유가의 기준이 되는 원유가 따로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서부텍사스유(WTI), 두바이유, 브렌트유 등 다양한 벤치마크 오일들이 있는데요. 국제유가에 대한 모든 것, 여기에서 확인해보세요!
  • 최근 미국이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소식에 주식을 비롯한 자산시장이 주춤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기준금리가 무엇이길래 내릴 때도, 올릴 때도 그렇게 큰 화제가 되는 것일까요? 금융정책의 핵심 중 하나인 기준금리, 여기에서 한 번에 정리해보세요!

🐰 INHYE

고유가, 고환율, 고금리는 정부 차원에서의 독립적인 통제가 불가한 변수들이기에 대응이 더욱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3고 현상이 계속되면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이러한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주시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