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YTE+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가장 핫한 산업과 기업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경제 이슈에 대한 BYTE만의 자세한 해설을 만나보실 수 있어요!
👉 멤버십 지금 가입하러 가기
오늘 Review & Preview에서는 이번 주의 BYTE+ 시리즈 '이커머스 적자 경쟁'를 정리한 뒤, 다음 주 주제인 '오르는 금리와 내리는 채권'에 대해 간략히 전해드리겠습니다.
Preview
이번 BYTE+의 주제는 "오르는 금리와 내리는 채권"입니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고,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들이는 '긴축정책'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는데요. 전 세계 중앙은행들의 긴축정책이 가시화되면서 국채금리부터 대출금리까지 각종 금리들이 일제히 오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금리가 올라가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죠.

4월 3주차 BYTE+에서는 요새 금리가 왜 오르는지, 그리고 금리의 상승은 어떤 영향을 가져오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금리 상승의 원인과 동향부터, 금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채권' 그리고 '대출'에 대해 최신 이슈와 주요 개념을 자세히 살펴보려 하는데요. 기준금리와 채권금리가 매번 헷갈리셨던 분들, 금리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셨던 분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릴게요!
❓ 이번 BYTE+부터 주제와 관련해 구독자 여러분들이 궁금하셨던 것, 더 알아보고 싶은 것들을 조사해 콘텐츠에 반영하려 하는데요. 이번 주 주제인 '채권과 금리'에 대해 질문 혹은 제안이 있으시다면 이 글 맨 하단의 "대화에 참여하세요" 버튼을 누르고 댓글을 남겨주세요!
Review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전후로 많은 산업에 변화가 생겼지만,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는 특히 눈에 띕니다. 이커머스 시장 트렌드가 급격하게 변화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인지 근래 온라인 소매업계는 몇 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하는 대형 딜(Deal)들이 연달아 이어지며 매우 분주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커머스 업체들은 점점 조급해지고 있습니다. 경쟁은 점점 과열되고 있지만, 압도적인 시장 승리자가 아직 등장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번 주 BYTE+ 시리즈에선 글로벌 경제에 대한 해설과 함께, 적자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봤습니다.
1. [DEEP BYTE] 지표로 읽는 '지금' 세계 경제
이번 주 <DEEP BYTE>에선 먼저 물가와 원자재 가격, 생산&고용, 경상수지, 금융시장, 그리고 실생활 속 각종 경제 지표와 최신 이슈를 살펴봤는데요. 이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와 중국 성장률 둔화, 유럽 경제의 위기 등 주목해야 할 경제 이슈까지 쉽고 자세하게 해설했습니다. '지금' 세계 경제가 궁금하다면, <DEEP BYTE>에서 가장 쉽고 생생한 해설을 만나보세요!

2. [마켓인사이드] 치열한 이커머스 시장, 아직 승자는 없다!
코로나19 이후 이커머스 업체들의 성장 속도는 매우 빨라졌는데요. 하지만 소위 Big 3라고 불리는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의 시장 점유율은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30%에 턱없이 부족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시장 성장률마저 둔화되며 우려에 불을 지피고 있는데요. 그래서 <마켓 인사이드>에서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최신 트렌드와 주요 플레이어들을 분석하고, 시장의 잠재적인 리스크들을 정리했습니다.

3. [상식한입+] 이커머스의 "심장" = ◯◯◯◯
이번 주 <상식 한 입+>에서는 이커머스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풀필먼트'를 다뤘는데요. 풀필먼트는 제품의 입고부터 배송까지 모든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물류 시스템을 이릅니다. 풀필먼트가 무엇이고 왜 이커머스 기업들이 풀필먼트에 사활을 걸고 있는지, 또, 풀필먼트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봤는데요. 현대 이커머스 시장을 돌아가게 하는 원동력인 '풀필먼트', <상식 한 입+>에서 완벽하게 정리해보세요!

4. [기업한입] 쿠팡,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쿠팡은 2014년 실적 공개 이후 단 한 번도 흑자를 기록한 적이 없습니다. 누적 적자는 무려 6조원에 달하죠. 그런데도 쿠팡은 물류센터 확장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축구장 46개 규모의 물류센터를 준공하기도 했습니다. 쿠팡은 이렇게 막대한 투자로 활성 사용자 1,800만명을 확보했지만, 너무 큰 적자와 소프트뱅크의 지분 매각으로 성장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과연 쿠팡은 '승자'가 될 수 있을까요?

5. [브랜드 한 입] BTS, 도시가 되다
이번에 BTS는 라스베가스에서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LAS VEGAS" 콘서트를 총 2주간 진행하는데요. BTS의 소속사인 하이브가 콘서트 전후로 도시 곳곳에 다양한 즐길 거리와 이벤트를 열어 확장된 팬 경험을 제공하는 ‘도시형 콘서트 플레이 파크’인 '더 시티' 프로젝트를 펼치고 있습니다. 더 시티 프로젝트는 무엇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하이브는 어떤 장치들을 활용했을까요? <브랜드 한 입>에서 이번 BTS 콘서트 기획과 'BTS 없는 미래'를 대비하는 하이브의 전략을 한 번에 정리해봤습니다.

📢 아직 BYTE+ 멤버십에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이제 매달 커피 2잔 가격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경제, 테크 이슈에 대한 BYTE+만의 깊이 있는 분석을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