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주차 Review & Preview
메인 이미지

4월 2주차 Review & Preview

📢 BYTE+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가장 핫한 산업과 기업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경제 이슈에 대한 BYTE만의 자세한 해설을 만나보실 수 있어요!
👉 멤버십 지금 가입하러 가기

오늘 Review & Preview에서는 이번 주의 BYTE+ 시리즈 '삼성전자 반도체의 위기?'를 정리한 뒤, 다음 주 주제인 '이커머스 적자 경쟁'에 대해 간략히 전해드리겠습니다.

Review

이번 주 BYTE+ 시리즈의 주제는 "삼성전자 반도체의 위기?"입니다. 최근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이 흔들리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초고성능 반도체를 만드는 '초미세공정'에서 수율(양품 비율)이 좋지 않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경쟁자인 대만의 TSMC에 고객사를 빼앗기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죠. 요새 삼성전자의 주가가 좀처럼 힘을 못 쓰는 데에도 수율 문제가 한몫한다고 하는데요.

이번 주 BYTE+ 시리즈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서 어떤 난관을 마주하고 있는지, 또 그 원인은 무엇인지 짚어봤습니다.

1.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이 흔들린다고?

최근 삼성전자의 시스템 반도체 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는데요. 특히 삼성전자가 초미세공정을 통해 생산하는 반도체의 수율이 떨어진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수율이란 생산한 반도체 중 불량이 아닌, 정상 제품의 비율을 뜻하는데요. 수율은 곧 기업의 생산성, 그리고 수익성과 직결되기에, 수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생산역량과 영업이익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과연, 삼성전자에는 무슨 일이 있는 걸까요?

[DEEP BYTE]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이 흔들린다고?
#삼성전자 #파운드리 #위기 #TSMC #초미세공정

2. 반도체 산업의 BEST BM? 글로벌 팹리스社 완전분석

코로나19 이후 인해 반도체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고성능, 맞춤형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설계 능력을 가진 팹리스 기업들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오늘 마켓 인사이드에서는 팹리스가 무엇인지, 팹리스와 다른 반도체 사업모델 간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팹리스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들로는 누가 있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마켓 인사이드] 반도체 산업의 BEST BM? 글로벌 팹리스社 완전분석
#반도체 #IDM #팹리스 #파운드리 #퀄컴 #엔비디아 #브로드컴 #자체칩개발 #CAPA부족

3. 많고 많은 반도체 칩, 다 어디에 쓰이는 걸까?

오늘 <상식 한 입+>에서는 주요 반도체들을 한눈에 보실 수 있도록 종류별로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메모리 반도체부터 CPU, 이미지센서, 모바일 AP까지...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기기 종류가 다양한 만큼, 반도체의 종류도 정말 많은데요. 각 반도체가 어떤 기능을 하고, 어떤 기업들이 주로 생산하는지, 알아둬야 할 기본적인 특징은 무엇인지 쉽게 소개했습니다. <상식 한 입+>를 읽고 나면, 이제 더 이상 반도체 뉴스가 어렵게 느껴지지 않으실 겁니다.

[상식 한 입+] 많고 많은 반도체 칩, 다 어디에 쓰이는 걸까?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반도체 종류 #D램 #CPU #AP #GPU #삼성전자 #SK하이닉스

4. '위기'라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자세히 보기

<기업 한 입>에서는 위기설의 당사자, 삼성전자에 대해 샅샅이 파헤쳐 봤습니다. 삼성전자가 어떤 반도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반도체 사업에 대해 어떤 미래를 꿈꾸고 있는지, 그리고 삼성전자의 실적과 주가는 어떠한지 자세히 분석해보았는데요. 지금 바로 살펴보시죠!

[기업한입] ‘위기’라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자세히 보기
#삼성전자 #위기설 #반도체 #메모리반도체 #D램 #낸드플래시 #종합반도체 #엑시노스 #파운드리 #TSMC

5. 오늘만큼은 파격적이어도 괜찮잖아; 만우절 마케팅

지난 4월 5일은 식목일이었습니다. 모두 알고 있듯이 나무를 심는 날이죠. 사회적 통념에 따르면 나무는 보통 햇빛에 대한 접근성이 좋고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실외에 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나무 한 그루도 아니고, 아예 실내에 나무로 가득한 정원을 조성한 브랜드가 있습니다. 바로 작년 2월에 오픈한 '더 현대 서울'입니다. '더 현대 서울'은 최근에는 박재범의 '원소주' 팝업스토어가 열리며 다시 한번 화제에 올랐는데요. '더 현대 서울'의 브랜딩에 대한 거의 모든 것, 오늘 <브랜드 한 입>에서 다뤄봅니다.

[브랜드 한 입] 실내에 나무를 심는 백화점이 있다?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 #MZ #체험형공간 #유통 #리테일 #백화점

Preview

다음 주 BYTE+의 주제는 "이커머스 적자경쟁"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이커머스 업체들은 극적인 성장을 경험했는데요. 하지만 방역조치가 완화되고, '엔데믹'이 다가오면서 이커머스 업체들의 성장세도 주춤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수많은 업체들이 이커머스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는데요. 이번 BYTE+시리즈에서는 1) 이커머스 시장의 구조와 경쟁구도, 2) 현대 이커머스 시장의 핵심인 풀필먼트 시스템, 그리고 3)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쿠팡의 미래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뤄보려 합니다.

쿠팡, 출혈경쟁 멈추고 수익성 노린다
#쿠팡 #유료멤버십 #주류판매 #풀필먼트센터 #전국구새벽배송 #이커머스 #출혈경쟁 #적자 #수익성전략
최근 쿠팡의 수익화 전략은 이 글을 참고하세요!

이번 주 월요일 <DEEP BYTE>에서는 특별히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한 총정리 콘텐츠를 보내드릴 예정인데요. 물가지수 발표,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과 해소, 3월 FOMC 의사록 공개 등 다양한 경제 이슈가 있었던 만큼, 이런 이슈들의 핵심내용과 의미를 최대한 쉽게 해설해드리려 합니다. 해당 콘텐츠에 대한 구독자 여러분들의 만족도가 높다면, 매주 월요일 <DEEP BYTE>를 각종 경제 지표와 이슈들을 점검하고, 해설하는 코너로 개편해볼 계획이니 이번 주 <DEEP BYTE>에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아직 BYTE+ 멤버십에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이제 매달 커피 2잔 가격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경제, 테크 이슈에 대한 BYTE+만의 깊이 있는 분석을 만나보세요!

👉 멤버십 지금 가입하러 가기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