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주차 Review & Preview
메인 이미지

3월 1주차 Review & Preview

오늘 Review & Preview에서는 이번 주의 BYTE+ 시리즈 '스마트폰 시장'을 정리한 뒤, 다음 주 주제인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해 간략히 전해드리겠습니다.

Review

이번 주 BYTE+의 주제는 "스마트폰 시장"이었습니다. 다양한 폼팩터의 등장과 함께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도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데요. 이번 주 BYTE+에서는 스마트폰의 구조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지형도, 폴더블폰의 원리, 그리고 세계 스마트폰 매출 1위 기업 애플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이번 주의 BYTE+를 한 번 정리해볼까요?

1. 스마트폰 하드웨어 뜯어보기

이번 주 <DEEP BYTE>에서는 최첨단 기술의 집합체인 스마트폰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하드웨어를 중심으로 알아봤는데요. 전화 통화와 인터넷 검색, 사진·동영상 촬영, 그리고 게임까지 가능한, 그야말로 '스마트한' 기기인 스마트폰은 어떻게 그 작은 몸집으로 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일까요? 스마트폰의 핵심 역할을 하는 부품은 무엇인지, 또 스마트폰의 각종 기능은 어떤 하드웨어를 통해 작동하는지 한 번에 정리해보세요!

[DEEP BYTE] 스마트폰 안에는 뭐가 들었을까?
‘스마트한’ 기기인 스마트폰은 어떻게 그 작은 몸집으로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는지, 핵심 부품들을 토대로 이야기를 풀어보려 합니다.

2.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구조

삼성전자가 애플보다 훨씬 더 많은 스마트폰을 팔고 있음에도, 스마트폰 매출은 애플의 1/3 정도밖에 안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삼성전자는 작년 Z FLIP과 Z FOLD 시리즈 같은 프리미엄 폴더블 스마트폰을 흥행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매출 기준 점유율은 애플에 훨씬 못 미치고 있죠.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선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구조를 알아야 하는데요. 과연, 스마트폰 시장은 어떻게 생겼길래 많이 팔고도 더 적게 벌 수밖에 없는 걸까요?

[마켓인사이드] 누구나 한 대씩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은 얼마나 클까?
누구나 하나씩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과연 시장의 규모는 얼마나 클까요? 오늘 <마켓인사이드>에서는 우리나라 한 해 국가 예산에 맞먹는 규모의 초거대 시장인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구조를 살펴봅니다.

3. 폴더블폰의 원리는 무엇일까?

삼성전자가 내놓은 폴더블폰 Z FLIP과 Z FOLD가 전 세계 폴더블폰 시장에서 88%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2019년 처음 상용화된 폴더블폰은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폴더블폰이 앞으로 혹은 옆으로 접힐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일까요? 각종 기술의 총 집합체인 폴더블폰, 어떤 구조인지 <상식 한 입+>에서 살펴보세요!

[상식한입+] 요즘 스마트폰 대세는 이것! 폴더블폰
주변을 둘러보면 점점 폴더블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빠르게 퍼져나가는 유행, 폴더블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 거듭되는 애플의 혁신, 그다음은?

'혁신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애플. 이제 PC와 스마트폰도 '당연한' 시대가 되어버린 만큼, 애플이 선택할 미래의 하드웨어는 무엇이 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데요. 과연, 애플이 바라보는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또, 애플은 지금의 아이폰과 Mac을 어떤 식으로 발전 시켜 갈까요? 애플의 역사와 제품, 실적과 미래전략까지, 오늘 <기업 한 입>에서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

[기업한입] 애플, 아이폰 다음은 무엇일까?
애플은 2007년 아이폰을 선보이며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는데요. 애플이 아이폰에 대해 어떤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 스마트폰 시장에 대한 미래 계획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시죠.

Preview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기 대비 7.5% 가까이 급등하면서 40년 만에 가장 심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역시 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기 대비 3.7% 상승하면서 5개월 연속 3% 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최근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물가 상승세가 더 가팔라지고 있죠.

[DEEP BYTE] 에너지 위기의 원인은 무엇일까?
오늘 DEEP BYTE에서는 글로벌 에너지 믹스의 80%를 차지하는 석유와 천연가스, 그리고 석탄을 중심으로 어떤 위기가 발생하고 있는지, 또, 그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려 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오른 이유는 이 글을 참고하세요!

오는 'BYTE+'에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주제로 최근의 인플레이션 추세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제공해드리려 합니다. 월요일 <DEEP BYTE>에서는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향후 전망을, 화요일 <상식 한 입+>에서는 각종 물가지표에 대한 쉽고 자세한 설명을, 수요일 <마켓인사이드>에서는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원자재 시장에 대한 분석을, 그리고 목요일 <기업 한 입>에서는 최근 물가 상승과 관련해 자주 언급되는 '배달의민족(우아한형제들)'에 대한 분석을 전해드립니다.

📢 아직 BYTE+ 멤버십에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이제 매달 커피 2잔 가격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경제, 테크 이슈에 대한 BYTE+만의 깊이 있는 분석을 만나보세요!

👉 멤버십 지금 가입하러 가기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