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주차 Review & Preview
메인 이미지

2월 2주차 Review & Preview

오늘 Review & Preview에서는 이번 주의 BYTE+ 시리즈 '지금, 메타버스'를 정리하고, 함께 읽어보시면 좋을 BYTE의 콘텐츠들을 소개해드립니다. 그리고 다음 주 주제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위기"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Review

이번 주 BYTE+의 주제는 "지금, 메타버스?"였습니다. 얼마 전 메타가 지난해 메타버스 사업을 10조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메타의 주가가 폭락하는 사태가 발생했는데요. 이번 BYTE+에서는 메타버스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지 산업·기술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메타의 메타버스 사업과 그 현황에 대해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 메타버스가 뭐야?

'메타버스'가 유행이라는데, 메타버스는 무엇을 가리키는 것일까요? 메타버스가 무엇인지, 그리고 메타버스가 트렌드가 된 이유는 무엇인지 아래 링크에서 만나보세요!

[상식한입+] MZ세대가 불러온 트렌드, 메타버스
MZ세대를 이해하려면 꼭 알아야하는 메타버스! 메타버스는 도대체 무엇인지, 메타버스가 트렌드가 된 이유가 궁금하다면?

2. 메타버스, 궁금한 건 못 참아!

메타버스는 그냥 아바타 게임 아닌가요? 또, 메타버스 사업을 한다는 기업들은 무엇으로 돈을 벌겠다는 것일까요? 메타버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질문들에 BYTE가 답해드립니다!

[DEEP BYTE] 메타버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들
새로운 가상세계 ‘메타버스(Metaverse)’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 오늘 DEEP BYTE에서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여러 의문점을 해결해드립니다!

3.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 구조 분석

메타버스는 이제 빅테크 기업이라면 '당연히' 한다고 선언해야 하는 어젠다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기업마다 그리고 있는 메타버스의 미래가 다른데요. 과연, 메타버스 산업은 어떤 구조로 이뤄져 있고, 각 분야의 기업들은 어떤 메타버스 사업을 하고 있을까요?

[마켓인사이드]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의 구조
말로만 듣던 ‘메타버스’ 시장, BYTE가 꼼꼼히 분석했습니다. 어디서도 볼 수 없는 메타버스 관련 산업 완전 분석!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4. 메타버스에 '진심'인 기업, 메타

전 세계에서 가장 메타버스에 '진심'인 기업은 어디일까요? 아무래도 회사명까지 '메타'로 바꾼 페이스북(현 메타)일 것 같은데요. 지난 해 메타버스 사업으로 엄청난 적자를 기록한 메타, 과연 무슨 일들을 벌이고 있고 왜 적자를 본 걸까요?

[기업한입] 메타버스에 승부수 던진 메타
최근 메타는 저조한 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크게 하락하였는데요. 메타는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메타버스를 지목하였습니다. 누구보다 메타버스에 진심인 메타가 그리는 메타버스에 대해 알아봅시다.

5. 메타버스에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 5G와 클라우드

메타버스 산업은 크게 인프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플랫폼으로 나뉩니다. 그 중 메타버스가 구현되기 위해 꼭 필요한 기초가 '인프라'인데요. 특히 통신기술(5G)과 클라우드 컴퓨팅이 인프라의 핵심으로 꼽힙니다. 아래 링크에서 5G와 클라우드를 한 번에 정리해보세요!

[상식한입+] 차세대 통신기술, 5G의 모든 것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등 미래 기술의 핵심 기반이 되는 5G! 여러분은 5G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상식한입+] 메타버스는 구름 위에? 클라우드
제대로 된 메타버스가 구현되려면 많은 것들이 필요한데요. 클라우드도 필수 요소 중 하나입니다. 4차산업을 받치는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입니다.

6. 메타버스 관련 최신 이슈는?

인프라

메타버스 인프라 시장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받았던 기업인 엔비디아가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기업 ARM의 인수를 포기했습니다. 엔비디아는 ARM 인수를 통해 반도체 설계툴 시장을 장악하려 했지만, 세계 각국 정부와 기업들의 압박에 결국 인수 포기를 선언했습니다.

결국 무산된 엔비디아의 ARM 인수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영국 반도체 설계회사 ARM 인수가 결국 무산되었습니다. 엔비디아가 ARM 인수를 포기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게임

메타버스 플랫폼 시장은 현재 게임 시장과 SNS 시장으로 양분되어 있습니다. 특히 가상세계를 실감 나게 구현한 '게임'은 메타버스 기업들의 격전지인데요. 최근 마이크로소프트가 블리자드를 인수하자, 소니가 게임 개발사 '번지'를 인수하며 맞불을 놓았습니다. Xbox와 플레이스테이션으로 경쟁 관계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소니, 과연 최근 무슨 일이 있는 걸까요?

블리자드를 꿀꺽한 마이크로소프트
‘스타크래프트’로 유명한 게임회사 블리자드를 82조원에 꿀꺽한 마이크로소프트. 과연, 마이크로소프트의 전략은 무엇일까요?
소니(SONY)의 ‘번지’ 인수, 달아오르는 게임 경쟁
소니(SONY)가 1일 게임 개발업체 ‘번지(BUNGIE)’를 약 4조3천억원에 인수했다고 밝혔는데요. 과연 그 내막은 무엇일까요?

SNS

게임과 함께 메타버스 플랫폼의 한 축을 이루는 것이 바로 메타버스 기반의 SNS입니다. 네이버의 제페토, SKT의 ifland가 대표적인 K-메타버스 SNS 플랫폼인데요. 아시아 1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운영하는 네이버와, 새롭게 메타버스 사업에 뛰어든 SKT의 전략은 무엇일까요?

K-메타버스의 경쟁은 계속된다!
네이버 제페토가 K-메타버스 시장 판을 키우는 가운데, 국내 메타버스 경쟁사들이 줄줄이 출시를 예고하고 있는데요. K-메타버스의 치열한 선점 경쟁을 살펴볼까요?

Preview

작년 10월 말 시작됐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10만명이 넘는 군대를 보내고, 군사훈련을 진행하며 전운을 고조시키고 있죠.

전운이 감도는 우크라이나
최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10만명에 달하는 군대를 보냈는데요. 과연, 러시아는 정말 우크라이나를 침공할까요?
다음 주 BYTE+를 읽기 전에 이 글을 먼저 보시면 이해가 수월하실 거에요!

다음 주 BYTE+에서는 (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위기의 원인과 향방을 짚어보고 (화) 분쟁의 핵심 쟁점인 'NATO(북대서양조약기구)'가 무엇인지 살펴보려 합니다. 또, (수) 실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시 서방 국가들은 어떤 대러 제재를 가할지 (목) 러시아 에너지 외교의 핵심인 '가즈프롬'은 어떤 기업인지 분석해볼 예정입니다. 새로 합류하신 🐰 Inhye님과 🦭 Eddie님도 활약해주실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하루 10분,
    경제를 읽는 가장 쉬운 방법
    지금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 보세요!
    지금 구독하고 월~금 아침 6시,
    최신 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필수) 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