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넷째 주 WEEKLY BYTE
메인 이미지

11월 넷째 주 WEEKLY BYTE

WEEKLY BYTE에서는 이번주 BYTE가 전해드린 소식들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WEEKLY BYTE와 함께 한 주를 알차게 마무리해보세요!

이 주의 BYTE+

[DEEP BYTE]

파월 연준 의장 유임, 영향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유임시키고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를 부의장으로 지명했습니다. 변호사 출신인 파월 의장과 진보 경제학자인 브레이너드 이사는 몇몇 이슈에서 의견이 갈리는데요. 과연, 앞으로 연준은 어떤 통화정책을 추구할까요?

[DEEP BYTE] 파월 연준 의장 연임, 영향은?
유임된 파월 연준의장과 새롭게 부의장으로 부임하게 된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과연, 둘은 이견을 좁히고 인플레이션 극복에 성공할 수 있을까요?

데이터로 보는 메타버스 트렌드

메타버스는 최근들어 새롭게 등장한 개념처럼 보이지만, 사실 2000년대부터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BYTE의 새로운 에디터 Shaun님의 첫 번째 데이터 분석 콘텐츠를 통해 메타버스 개념이 어떻게 발전하고, 부상하게 되었는지 함께 알아봐요!

[DEEP BYTE] 데이터로 보는 메타버스 트렌드
메가 트렌드가 되어버린 메타버스! 그런데 메타버스는 사실 과거부터 차근차근 발전해온 개념입니다. 데이터로 메타버스의 과거부터 현재를 바라봅니다.

[상식 한 입+]

자율주행은 어떤 원리일까?

최근 애플이 자율주행 자동차를 예정보다 빨리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들려오며 자율주행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자율주행이라고 다 같은 자율주행이 아니라는 것, 알고 계셨나요? 이번 상식 한 입+에서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과 단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상식한입+] 자율주행은 어떤 원리일까?
최근 애플이 자율주행 자동차를 예정보다 빨리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에 자율주행에 대해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자율주행의 기본, 함께 알아볼까요?

주가 상승의 원동력? 자사주 매입

현대차는 최근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공시했습니다. 현대차는 자사주 매입의 목적은 주주가치 제고라고 밝혔는데요. 그런데 왜 자기 회사의 주식을 다시 사들이면 주주가치가 올라가는 걸까요? 기업이 자기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이유, 오늘 <상식 한 입+>에서 알아보세요!

[상식한입+] 주가 상승의 원동력? 자사주 매입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업들은 자기 회사의 주식을 사기도 하는데요. 기업들이 자사주를 매입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플랫폼 기업들을 규제하는 온플법

플랫폼의 '갑질'을 막기 위해 등장한 온플법. 최근 정부는 공정위와 방통위의 온플법을 절충해 '온플법 제정안'을 마련했다고 하는데요. 과연 온플법의 영향을 받는 기업들은 어디이고, 온플법이 적용될 경우 무엇이 달라질까요?

[상식한입+] 플랫폼 기업들을 규제하는 온플법
1년 넘게 표류하던 온플법이 최근 가닥을 잡고 빠르게 통과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온플법은 어떤 법일까요?

[인터뷰 한 입 ]

신한금융투자 해외 DMA 세일즈 담당, 신수진 님

이번 인터뷰 한 입에서는 신한금융투자에서 해외 DMA 세일즈 담당으로 일하고 계신 신수진 님을 인터뷰했습니다. DMA는 '다이렉트 마켓 엑세스'라는 뜻으로 증권사의 주문대행 없이 투자자가 직접 주문을 거래소에 전송하는 매매 방식을 의미합니다. 신수진 님은 고려대학교를 졸업하시고, 스타트업과 컨설팅펌 인턴을 거쳐 신한금융투자에서 일하고 계신데요. 어떻게 금융사로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했는지, 어떤 일들을 하고 계신지 알아볼까요?

[인터뷰 한 입] 신한금융투자의 해외 DMA 세일즈 담당, 신수진 STORY
오늘은 신한금융투자의 해외 DMA 세일즈, 신수진님과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수진님의 스토리, 지금 시작합니다.

이 주의 이슈 한 입

콘텐츠로 세계 정복 나서는 CJ ENM
CJ ENM은 19일 영화 ‘라라랜드’의 제작사로 유명한 미국의 영화제작사 ‘엔데버 콘텐츠’의 지분 80%를 9,200억원에 인수한다고 밝혔습니다. 엔데버 콘텐츠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그룹인 엔데버홀딩스의 산하 기업으로, 라라랜드뿐만 아니라 ‘콜 미 바이 유어 네임’과 같은 히트작을 여럿 만들어 낸 제작사로도 유명한데요. 과연, CJ ENM이 엔데버를 인수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콘텐츠로 세계정복 노리는 CJ ENM
최근 라라랜드 제작사를 인수하고, 기업 분할을 결정한 CJ ENM. 과연, CJ ENM은 어떤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려 할까요?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지분은 누구 손에?

우리금융지주가 공적자금이 투입된 지 무려 23년 만에 완전 민영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2001년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금융지주회사입니다. 우리금융지주의 최대 주주였던 예금보험공사는 이번에 보유 지분 중 9.3%를 매각하기로 하면서 최대 주주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는데요. 과연, 어떤 기업들이 우리금융지주의 지분을 손에 넣었을까요?

민간의 품에 안긴 우리금융지주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지주 지분 9.3%를 매각하면서 최대 주주 자리에서 내려왔습니다. 과연 우리금융지주는 완전 민영화를 통해 어떤 모습으로 변할까요?


곧 커피 가격이 오릅니다

스타벅스는 최근 계속해서 오르는 원두 가격으로 인해 조만간 커피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세계적인 인플레에 원두 가격 역시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지난 20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는 국제 원두가격의 기준이 되는 커피 C 선물 가격이 파운드당 2.33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된 1.17달러보다 약 2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9년 만에 가장 높은 가격대를 기록했습니다.

역대급 몸값의 원두 이적시장
올해 원두 가격이 급등하면서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들이 가격을 인상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요. 과연 원두 가격은 왜 올랐을까요?


삼성전자, 테일러에 2공장 짓는다

24일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20조원을 투자해 파운드리 제2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습니다. 20조원은 삼성전자가 해외에 투자한 가장 큰 액수이며, 삼성전자는 오스틴에 이어 테일러에 두 번째 반도체 생산 공장을 짓게 되었습니다. 제2공장은 내년 1분기 착공 예정이며, 삼성전자는 2024년 하반기에 제2공장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테일러에 파운드리 2공장 짓는 삼성전자
24일 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시에 파운드리 제2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삼성전자의 대규모 반도체 투자 소식을 꼼꼼히 짚어볼까요?


다시 불붙는 기름 전쟁?

최근 인플레이션과 공급망 리스크로 인기가 빠르게 식고 있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기름값을 잡기 위한 강력한 행보에 나설 것을 시사했습니다. 한때 배럴당 80달러를 넘어섰던 국제유가는 최근 큰 폭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70달러 후반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나서 산유국 모임인 OPEC+에 증산을 요구하기도 했으나, 증산 속도가 성에 차지 않는 모양새입니다.

다시 불붙는 기름 전쟁?
OPEC의 증산 거부에 전략비축유를 풀겠다는 바이든 대통령. 과연 바이든 대통령은 높은 유가를 성공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까요?


막을 내린 제로금리 시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개최된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1.00%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8월 이미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한 차례 인상한 적이 있는데요. 기준금리를 0.75%로 인상한 지 약 3개월 만에 다시 연 1.00%로 추가 인상을 단행하면서 본격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막을 내린 제로금리 시대
한국은행은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1%로 인상했습니다. 과연 기준금리 인상은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이 주의 뉴스 한 입

[전기/전자]

  • 삼성전자, 병풍처럼 접히는 폴더블폰 특허 승인
  • 삼성전자, 미국 제2파운드리 공장 테일러시 확정
  • LG에너지솔루션, 내년 1월 IPO 확정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낸드플래시 시장 점유율 증가
  • 애플, 2023년부터 아이폰에 자체 개발 5G 모뎀 탑재
  • 애플, 인텔&퀄컴 떠나 TSMC에 반도체 위탁생산 맡긴다
  • 중국 반도체 기업 SMIC, 7나노 반도체 공정 개발 돌입


[모빌리티]

  • 택시 업계, 공공앱 운영 실험 나선다
  • 현대차, 3년간 일자리 4만6천개 만든다
  • 현대차, 국내 사업부 없애고 해외 시장 성장 집중
  • 에디슨모터스, 쌍용차 정밀실사 일주일 연장
  • 제2의 테슬라 리비안, 포드와 개발 협력 중단
  • 카카오모빌리티,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추진한다
  • 정부, 요소수 사태 방지 위해 경제안보 핵심품목 TF 신설


[블록체인&메타버스]

  • JYP,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 위해 50억 투자
  • 데브시스터즈, 두나무 블록체인 자회사 람다256에 투자
  • 두나무, 업비트 내 NFT 거래 베타서비스 런칭
  • 네이버, 메타버스 넘어 ‘아크버스’ 출시 계획
  • 컴투스, 모바일 게임사 베스파 인수 추진


[비즈니스]

  • 2시간 내 배송으로 격해지는 커머스 경쟁
  • 중동 국영기업, 탈석유 자금 마련 위해 IPO 추진
  • 카카오, 카카오톡 내 불법 리딩방 퇴출
  • 정부, 공정위 온라인플랫폼법 통과 추진
  • 글로벌 물류대란으로 원두값 상승
  • 급물살 타는 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 결합
  • 쿠팡, 물류 투자 위해 3억달러 담보대출...적자는 심화
  • 두산건설, 재무구조 개선 위해 2,500억원 유상증자
  • 야놀자, 인공지능 애드테크 기업 데이블 인수
  • 넷플릭스, 망 사용료 지급 불가 입장 고수
  • 이스타항공, (주)성정에 인수 후 기존 주주 주식 전량 무상 소각


[경제]

  • 바이든 대통령, 파월 의장 유임 결정
  • 미국 연준, 물가 안정과 고용 안정 위해 조기 금리인상 시사
  • 미국, 오르는 유가 잡기 위해 전략비축유(SPR) 방출 결정
  • 정부, 초과세수 19조원 중 5.3조원으로 소상공인 지원
  • 한국은행, 기준금리 1.00%로 인상
  • 기준금리 인상에 예·적금 금리 올리는 은행권
  • 29일부터 2차 뉴딜펀드 판매 시작
  • 중국, 심해진 전력난으로 호주산 석탄 수입 재개